책장의 인쇄 또는 서사된 면이 밖으로 나오도록 접어 가지런히 중첩하고, 그 책장 단면의 가까운 부분을 뚫어 지념(紙捻) 또는 끈으로 먼저 철한 다음 한장의 표지로 책의 앞면·등·뒷면을 덮어 싼 장정이다.
이전 단계의 호접장은 반접(反摺)을 하였기 때문에 한장을 읽고 넘기면 두면의 공백지가 나오는 것이 불편하였고, 또 책을 오래 사용하는 사이에 책의 등에 붙인 곳이 떨어지거나 찢어지면 책장이 흩어지기 쉽고 판심 부분을 읽을 수 없게 되어, 그 단점을 보완한 것이다.
따라서, 이 장정의 서구(書口)는 책의 중봉(中縫 : 책지가 접히는 복판 부분)이 되므로 대개 서명·권수·장수 등은 모두 판심에 표시되어 있다. 중국 원대(元代)에서 비롯하여 명대(明代)까지 보급되었는데, 우리 나라에 있어서는 고려 말기에 간행된 책을 비롯하여 조선 초기의 간본에서 볼 수 있고, 그 뒤 조선 말기까지의 간본에서도 더러 볼 수 있다. →장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