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첩장 ()

목차
관련 정보
백지묵서묘법연화경
백지묵서묘법연화경
출판
개념
책종이를 이어 붙이고 똑같은 크기의 장방형으로 접어 앞뒷면에 보호용 표지를 붙여 만든 장정형태. 경접장 · 섭장 · 첩장.
이칭
이칭
경접장(經摺裝), 섭장, 첩장
목차
정의
책종이를 이어 붙이고 똑같은 크기의 장방형으로 접어 앞뒷면에 보호용 표지를 붙여 만든 장정형태. 경접장 · 섭장 · 첩장.
내용

책종이를 주5과 같이 이어 붙이고 좌우도 똑같은 크기의 장방형으로 접어 마치 병풍처럼 중첩하여 그 앞뒷면에 보호용 표지를 붙여 순환하며 주1할 수 있게 만든 장정이다. 장정의 발달상 두번째 단계에 해당한다.

권자형의 책은 한편으로는 읽으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펼쳐 나가야 하며, 또 다 읽은 부분은 말아서 그 다음 부분을 읽을 수 있게 하고, 다 읽으면 다시 말아 두어야 한다. 그리고 권중(卷中)이나 권말(卷末)을 보려면 처음부터 다시 펼쳐야 하는 불편이 있어 개장(改裝)된 것이다.

그러한 불편은 평상시에 많이 참고하는 유서(類書) · 주2 등의 이용에서 컸으며, 특히 목탁을 치며 불경을 읽을 때 매우 곤란하여 개장되기 시작하였다. 그리하여 그 명칭을 경접장(經摺裝) 또는 범협본(梵夾本)이라고도 하였다.

이 장정의 명칭은 그 형태에 따라 첩책(帖冊) · 접엽(摺葉) · 접책(摺冊) · 절본(折本) · 접첩본(摺疊本) · 첩본(帖本) · 절접본(折摺本) · 첩장본(帖裝本) · 엽자본(葉子本) · 책엽(冊葉) · 선풍엽(旋風葉) 등으로 쓰인다. 이 중 선풍엽이라는 이름은 이 장정으로 된 책을 잘못 다루면 접어 중첩한 책장이 자체의 무게로 인하여 한꺼번에 와르르 떨어져 나오므로, 마치 선풍이 인 것 같다 하여 붙여진 것이다.

그것은 주3 권3의 운연과안록(雲煙過眼錄)에서 “차례로 책장을 일엽씩 뒤집어보며 펴서 옮겨 권말에 이르러 곧 합치면 한 권이 된다.”라고 설명한 선풍엽이 바로 절첩장의 모양과 같은 점에서 입증된다.

절첩장은 송나라 주4의 『귀전록(歸田錄)』 권2에 의하면 당나라에서 비롯하여 퍼졌다. 이 장정이 보급되어 오래 사용됨에 따라 접은 부분이 파손되어 흩어지는 폐단이 생겨 한 장의 표지로 책의 위 · 옆 · 아래를 덮어싸기도 하였으나, 책을 읽을 때에는 역시 손이 타서 파손되므로 절첩한 한쪽을 풀로 붙이기도 하였다.

우리나라에서는 고려 후기의 사경(寫經)에서 시작, 보급되었고 그 이후의 책들은 탁본(拓本)법첩(法帖) 등에서 간혹 볼 수 있다. →장정

참고문헌

『한국서지학연구』(천혜봉, 고산천혜봉교수정년기념선집간행위원회, 1991)
『한국서지학』(천혜봉, 민음사, 1997)
『圖書板本學要略』(屈萬里·昌彼得, 中央文物供應社, 1953)
『中國古代書籍史話』(劉國鈞, 中華書局, 1973)
『書誌學序說』(長澤規矩也, 吉川弘文館, 1960)
주석
주1

책이나 문서 따위를 죽 훑어 읽음. 우리말샘

주2

한자를 모아서 일정한 순서로 늘어놓고 글자 하나하나의 뜻과 음을 풀이한 책. 우리말샘

주3

중국 청나라의 시인이며 장서가인 전증(錢曾)이 자기의 장서에 써넣은 제사(題辭)와 발문을 모아서 대략적인 설명을 넣어 엮은 책. 서지학상 참고가 될 만한 부분이 많다. 4권. 우리말샘

주4

중국 송나라의 정치가ㆍ문인(1007~1072). 자는 영숙(永叔). 호는 취옹(醉翁)ㆍ육일거사(六一居士). 당나라 때의 화려한 시풍을 반대하여 새로운 시풍을 열고, 시ㆍ문 양 방면에 걸쳐 송대 문학의 기초를 확립하였으며, 당송 팔대가 가운데 한 사람으로 꼽힌다. 저서에 ≪신오대사≫, ≪신당서≫, ≪모시본의(毛詩本義)≫ 따위가 있다. 우리말샘

주5

두루마리로 된 책자. 또는 그렇게 책의 겉모양을 꾸미는 방법.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1)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