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상질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전기에, 경상도관찰출척사, 예문춘추관대학사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중질(仲質)
죽소(竹所)
시호
문열(文烈)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1400년(정종 2)
본관
청주(淸州)
주요 관직
양광도관찰출척사(楊廣道觀察黜陟使)|경상도관찰출척사|예문춘추관대학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전기에, 경상도관찰출척사, 예문춘추관대학사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중질(仲質), 호는 죽소(竹所). 할아버지는 호부상서(戶部尙書) 한공의(韓公義)이고, 아버지는 판후덕부사(判厚德府事) 한수(韓脩)이며, 어머니는 길창군(吉昌君)권적(權適)의 딸이다. 조선의 개국공신 한상경(韓尙敬)이 그의 아우이고, 세조 때 공신 한명회(韓明澮)는 그의 손자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374년(공민왕 23) 대군시학(大君侍學)을 지냈다. 그리고 1380년(우왕 6)에 좌랑으로서 문과에 급제하였다. 공양왕 때는 형조판서를 거쳐, 우부대언·우상시(右常侍)·예문관제학 등을 역임하였다.

1390년(공양왕 2) 6월 천추사(千秋使)로서 명나라에 가서 윤이(尹彛)·이초(李初)의 속임을 변명하고 돌아와, 12월에 서북면도관찰출척사 겸 병마도절제사(西北面都觀察黜陟使兼兵馬都節制使)를 지냈다.

1392년 7월 조선왕조가 건국되자 예문관학사로서 주문사(奏聞使)를 자청해 명나라에 가서 ‘조선(朝鮮)’이라는 국호를 승인받아 이듬해 2월에 돌아왔다. ‘조선’이라는 국호는 기로(耆老)와 백관(百官)이 도당(都堂)에 모여 국호를 의논할 때 거론되었다.

이성계(李成桂)의 고향인 ‘화령(和寧)’과, 단군·기자·위만의 세 조선을 상징하는 ‘조선’으로 압축되었다.

명나라는 기자조선을 의식하고 ‘조선’이라는 칭호를 새 왕조의 국호로 선정했으나, 조선은 단군조선과 기자조선의 문화 전통을 동시에 계승한다는 의미에서 국호로 추천한 것이었다.

그것은 국호를 제정하기 이전인 1392년(태조 1) 8월에 이미 단군을 동방의 첫 수명군주(受命君主: 命을 받은 군주)로서 국가에서 평양부로 해금 시제(時祭)를 지내도록 조처한 사실에서 확인된다.

1393년 9월 양광도관찰출척사(楊廣道觀察黜陟使)가 되고, 1397년 경상도관찰출척사를 거쳐, 그 해 예문춘추관대학사가 되었다. 성품이 총민(聰敏)하고 중앙과 지방의 관직을 역임하면서 치적을 많이 쌓았다. 시호는 문열(文烈)이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태조실록(太祖實錄)』
『정종실록(定宗實錄)』
집필자
한영우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