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부림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전기에, 참지의정부사, 대사헌, 형조판서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윤물(潤物)
난계(蘭溪)
시호
정평(定平)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360년(공민왕 9)
사망 연도
1410년(태종 10)
본관
강릉(江陵)
주요 관직
충청도관찰출척사|예문관제학|동북면도순문사|대사헌
관련 사건
제1차 왕자의 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전기에, 참지의정부사, 대사헌, 형조판서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강릉(江陵). 자는 윤물(潤物), 호는 난계(蘭溪). 아버지는 검교중추원학사(檢校中樞院學士) 함승경(咸承慶)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385년(우왕 11) 문과에 급제해 예문검열(藝文檢閱)을 거쳐 좌정언으로 승진하였다. 1389년 공양왕이 즉위하자 헌납으로 재직중 정지(鄭地)·이림(李琳)·왕안덕(王安德)·우인열(禹仁烈)·우홍수(禹洪壽) 등 구신들을 탄핵하다가 왕의 미움을 받아 춘주지사(春州知事)로 좌천되었다.

그 뒤 다시 기용되어 형조정랑이 되었다. 그러나 중방(重房)의 무신들이 문신을 멸시하자 이에 항거하다가 파직되었다. 1392년(공양왕 4) 이성계(李成桂)가 실권을 잡자 병조정랑 겸 도평의사사경력사도사에 복직되었다. 그 해 이성계 추대에 참여해 개국공신 3등으로 개성소윤에 임명되었다.

그리고 형조의랑에 이어 대사성·좌산기상시로서 상서소윤(尙瑞少尹)을 겸하고 명성군(溟城君)에 봉해졌다. 태종 초기에 충청도관찰출척사·예문관제학·동북면도순문사·동북면도순문찰리사 겸 병마도절제사 겸 영흥부윤 등을 역임하였다. 1404년(태종 4) 참지의정부사로서 대사헌에 올랐다.

다음 해 노비변정도감제조와 경기도관찰사를 역임하고, 1406년에 계림부윤·경상도관찰출척사를 지냈다. 다음 해 다시 참지의정부사로서 명나라에 다녀왔다. 1408년에 형조판서가 되었다가 1410년 파직되었다.

성격이 강직해 직언을 서슴지 않았으며, 서리를 다스리는 데에 능숙해 관직을 맡을 때마다 칭송을 받았다. 1405년에는 앞서 1398년(태조 7)의 제1차 왕자의 난 때, 정도전(鄭道傳)과 더불어 왕자 방석(芳碩)을 옹립했다는 혐의로 탄핵을 받은 일이 있다. 시호는 정평(定平)이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태조실록(太祖實錄)』
『태종실록(太宗實錄)』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용재총화(慵齋叢話)』
『거문절공유사(車文節公遺事)』
『해동잡록(海東雜錄)』
「정도전(鄭道傳)의 인간(人間)과 사회사상(社會思想)」(한영우, 『진단학보』50, 1980)
집필자
한영우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