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인사 대적광전 ( )

목차
관련 정보
합천 해인사 대적광전 일곽
합천 해인사 대적광전 일곽
건축
유적
문화재
경상남도 합천군 가야면 해인사에 있는 조선후기 에 중건된 사찰건물. 불전. 시도유형문화재.
목차
정의
경상남도 합천군 가야면 해인사에 있는 조선후기 에 중건된 사찰건물. 불전. 시도유형문화재.
내용

정면 5칸, 측면 4칸의 다포식 팔작지붕건물. 1985년 경상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1481년(성종 12) 이후 확장된 해인사의 사찰규모는 창건당시보다 웅장하였으나, 그뒤 수차례의 화재로 인하여 거의 불타 없어지고, 현존의 건물들과 함께 대적광전 역시 조선 말기에 중건된 것으로 보인다.

장방형 평면으로 가구식(架構式) 기단 위에 세워져 있는데, 정면의 주간(柱間) 크기는 비교적 크게 잡고 있어 건물의 전체형태를 보면 옆으로 퍼진 느낌을 주고 있다.

주간 크기와 기둥 높이의 비율에서 보면 조선 중기 이전의 양식과는 달리 주간비율이 큰 것이 특징이며, 이것이 건물 전체에 안정감을 주고 있다. 공포(栱包)는 다포로 외2출목(外二出目) · 내3출목(內三出目)의 구성이며, 살미첨차[山彌檐遮]와 대첨 · 소첨이 짜여져 말기적인 장식부재가 역력히 나타나고 있다.

가구형식은 2고주9량가(二高柱九樑架)로 비교적 대형건물의 가구수법을 보이고 있으며, 고주간에 대량(大樑)을 보이고, 평주와 고주 사이에는 퇴량(退樑)으로 연결시켜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천장의 외진(外陣)은 빗천장, 내진(內陣)은 우물천장으로 되어 넓은 평면에서의 공간분위기가 아늑하게 처리되었다. 이 건물은 평면크기에 비하여 가구수법이나 공간분위기가 조선 말기적 건축양식을 나타내는 불교건축의 하나이다.

집필자
김동현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