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금조선문전 ()

목차
관련 정보
현금조선문전
현금조선문전
언어·문자
문헌
일제강점기 국어학자 이규영(1890-1920)이 중등학교의 초급 국어문법 교육을 위하여 편찬한 교과서.소문전.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일제강점기 국어학자 이규영(1890-1920)이 중등학교의 초급 국어문법 교육을 위하여 편찬한 교과서.소문전.
내용

A5판 90면의 활판본. 유저(遺著)로서 1920년 출판되었다. 내용은 제1편 글씨[文字], 제2편 씨[字], 제3편 월[文]의 3부로 된 초급용 기초문법이다. 주시경(周時經)의 맥을 이은 김두봉(金枓奉)의 ≪조선말본≫의 영향을 받았다.

제1편은 한글과 한자를 다루었는데, /ㅐ/와 /ㅔ/를 여전히 거듭―이중모음―으로 보고, 현실적 교육의 필요에서 마련한 한자에서는 그 획(劃)·변(邊)·체(體)·독법(讀法)을 차례로 서술하였다. 특히, 독법은 ‘去 가(訓) ㄹ(토) 거(音)’로 가른 것이 독특하다.

제2편은 9품사를 몸씨(임씨·얻씨·움씨), 토씨(겻씨·잇씨·맺씨), 모임씨(언씨·억씨·늑씨)의 2단계로 드러내어 간결하게 서술하였다.

또한, 몸씨에서는 복합어인 몸씨의 합성과 변칙용언인 규칙없는 씀말을 따로 세운 것도 교육적으로 적절하였다. <규칙없는 씀말>이라는 절을 따로 설정하여 변칙용언의 개념을 분명히 규정하고 표로 들었다. 이와 같은 개념의 확립은 이 문전만의 특징이었다.

제3편은 성분을 으뜸감(근간어)인 임자감(주어)과 풀이감(술어), 붙은감(지엽어)인 딸림감 (관형어)과 매임감(부사어)의 4분법, 문장을 홋월(단문)과 거듭월(복문)로 간결하게 분류하였다.

모임씨와 함께 하위분류를 하지 않은 것은 교육적인 고려였겠으나, 문장종류의 양분법은 주시경이나 김두봉의 분류에서 볼 수 없는 것이다. 이것은 김두봉의 줄월[重文]·겹월[複文]·덧월[疊文]·모월[混文]을 하나로 묶었을 것이나, 주목할 것은 2단계분류를 시도한 점이다. 이 책의 문장은

四. 子音 의 接變

子音 이 連發하 ㄹ 때 에 그 發

音 機關의

關係 로 인하 야 變함 이 있 으

니 알 의 적―

―음 과 같음 (이 책, 9면)

과 같이 철저한 띄어쓰기와 부자연스러운 ‘함’체로 되어 있다. 그럼에도, 이 유저가 8년 만인 1928년 10월 6판이 거듭될 만큼 많이 보급된 것은 시의에 맞는 국한문체와 초학자에게 알맞은 간결성에 있다고 본다.

요컨대, 이 책은 이규영이 국어연구에 잠심한 1910년대에 전기의 ≪말듬≫에 이어 후기에 두번째로 저술한 3부법 소문전이다. 주시경파 문법으로서 주시경문법에서 자라서 김두봉문법에서 살찐 이규영의 문법이나, 그 나름대로의 특징을 가진 초학자용으로서 당시로서는 가장 많이 판을 거듭하였고, 그만큼 영향이 컸던 문법책이다.

참고문헌

『국어문법』(주시경, 박문서관, 1910)
『조선말본』(김두봉, 신문관, 1916)
『조선문자급어학사(朝鮮文字及語學史)』(김윤경, 조선기념도서출판관, 1938)
『국어문법사연구』(강복수, 형설출판사, 1972)
『신국어학사』(김민수, 일조각, 1980)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김민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