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6변(第六變)에 속한다. 일무(佾舞)는 문무(文舞)가 추어지고, 등가(登歌)에서 음악을 아뢴다.
원래 세종 때 회례악(會禮樂)으로 만들어질 때는 제6변으로 곡명이 「승강(承康)」이었으나, 세조 때 종묘제례악으로 채택되면서 「현미」로 바뀌었고 곡도 축소되었다. 노랫말은 태종의 왕위사양을 찬양한 것으로 5언 10구의 한시였으나, 세조 때 5언 4구로 바뀌었다.
곡명은 노랫말 가운데 ‘돈양현미덕(敦讓顯美德)’에서 온 것이다. 노랫말은 다음과 같다.
아아 위대하고 거룩하신 아버님께서
국란을 극복하사 사직을 안보하셨도다.
그 덕이 구가되고 중망이 높으셨으나
굳이 왕위를 양여하사 미덕을 나타내시었도다.
(於皇我聖考 戡難保宗祐 謳歌輿望隆 敦讓顯美德).
원래의 임종궁평조(林鐘宮平調)에서 황종궁평조(黃鐘宮平調)로 바뀐 5음음계의 곡이다. 박(拍)은 노랫말 매구에 한번 들어갔고, 박 둘이 모여 한 장단을 이룬 규칙적 음악이었으나 현행의 것은 모두 불규칙적이다.
종지형은 하일(下一)에서 하오(下五)에 이르는 하행종지형이다.『세종실록』악보에 「승강」이, 『세조실록』악보·『대악후보(大樂後譜)』·『속악원보(俗樂源譜)』·『시용무보(時用舞譜)』에「현미」의 악보가 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