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방지황탕 ()

목차
관련 정보
의약학
개념
소양인 체질의 표병증에 속하는 신한복통망음증과 부종 · 천촉 · 결흉 등의 증세에 사용하는 처방.
내용 요약

형방지황탕은 소양인 체질의 표병증에 속하는 신한복통망음증과 부종·천촉·결흉 등의 증세에 사용하는 처방이다. 1894년 이제마가 지은 『동의수세보원』에도 기록되어 있는 처방이다. 정신적 불안과 섭생의 부주의에서 오는 음허화동으로 복통이 발생하는 신한복통망음증에 처방한다. 또한 소양인의 병리 중 표음이 울체되어 제대로 하강하지 못하여 발병되는 부종·천촉·결흉·이질·한열왕래 등의 증세에 사용한다. 처방의 구성은 숙지황·산수유·복령·택사 각 7.5g, 차전자·강활·독활·형개·방풍 각 3.75g으로 되어 있다.

목차
정의
소양인 체질의 표병증에 속하는 신한복통망음증과 부종 · 천촉 · 결흉 등의 증세에 사용하는 처방.
내용

1894년 이제마(李濟馬)가 지은 『동의수세보원(東醫壽世保元)』에도 기록되어 있는 처방이다. 소양인의 표병증은 크게 소양상풍증(少陽傷風症:소양인이 음기가 하강하지 못하고 등뼈 주위에 울체되어 생긴 병)과 주1으로 나뉜다.

이 중 망음증은 다시 신열두통망음(身熱頭痛亡陰)과 신한복통망음으로 나누어진다. 신열두통망음은 소양상풍증의 치료가 불완전하여 주2가 근육간에 남아서 두통이 생기는 것이고, 신한복통망음은 평소에 정신적 불안과 섭생의 부주의에서 오는 주3으로 복통이 생기는 것을 말한다.

또한, 소양인의 병리는 크게 둘로 나뉘는데, 하나는 표음(表陰)이 주4되어 제대로 하강하지 못하여 발병되는 것이고, 나머지 하나는 이양(裡陽), 즉 청양(淸陽 : 가볍고 맑은 양기)이 제대로 상승하지 못해서 발병되는 것이다.

후자에 속하는 병증들이 주로 이병증(裡病症)에 속하는 것으로 중풍 · 토혈 · 구토 · 식체 · 주5이 이에 해당되며, 전자에 속하는 병증들은 대개 표병증에 속하는 것으로 부종 · 주6 · 주7 · 이질 · 주8 · 흉협만 등이 있다. 형방지황탕은 전자에 해당하는 병증을 주로 치료하는 처방이다.

처방의 구성은 주10 · 주18 · 주11 · 주12 각 7.5g, 주13 · 주14 · 주15 · 주16 · 주17 각 3.75g으로 되어 있다.

적응증으로는 주9 · 주19 · 주20 · 주21 · 중풍허증(中風虛症) · 주22 · 상한비기(傷寒痞氣) · 내상도포(內傷倒飽) · 불사음식(不思飮食) · 주23 · 주24 · 주25 · 습울(濕鬱) · 주26 · 주27 · 단기(短氣) · 주28 · 주29 · 주30 · 토혈 · 주31 · 색상실음(色傷失音) · 산후실음(産後失音) · 주32 · 교장(交腸) · 두통 · 주33 · 요통 · 주34 · 주35 · 주36 · 주37 · 주38 · 태동(胎動) 등 매우

군약(君藥)주39이 되는 숙지황은 생명의 근원인 신수(腎水)를 보(補)하는 작용이 있고, 산수유는 보양(補陽)하는 작용이 있어 주40을 흩어지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복령과 택사는 삼습이뇨(渗濕利尿)하는 효능이 있어 사열(邪熱)을 배설시켜주며, 차전자는 개수도(開水道)하면서 고정(固精)하는 작용이 있고, 형개 · 방풍 · 강활 · 독활은 표부(表部)의 사기(邪氣)를 막아주며 보음(補陰)하는 효능이 있다.

이 처방은 육미지황탕(六味地黃湯)의 가미방인데 산약(山藥)이 없는 것은 소양인은 비기(脾氣)가 충족한 체질인 까닭에 이를 뺀 것이다. 또한, 주41도 성(性)이 한랭(寒冷)하여 진양(眞陽)을 손상할 우려가 있어 뺀 것으로 보인다.

이 처방을 응용할 때에 해소가 있으면 전호(前胡)를, 어혈병에는 현삼(玄蔘) · 목단피를, 편두통에는 황련(黃連) · 주42를, 식체로 가슴이 답답할 때는 목단피를, 화(火)가 오를 때는 석고(石膏)를 각각 첨가하여 사용한다.

또한, 만일 두통이 있고 번열이 나며, 객혈이나 토혈이 있을 때에는 숙지황을 생지황으로 바꾸어야 하며, 석고를 가미할 때는 산수유를 빼야 한다.

형방지황탕에 전호를 첨가한 처방은 전호지황탕이라 하여 해소 · 천식을 치료하고, 현삼 · 목단피를 가한 처방은 현삼지황탕이라 하여 토혈을 치료하며, 황련 · 우방자를 가한 처방은 황련지황탕이라 하여 편두통을 치료한다.

참고문헌

『동의수세보원(東醫壽世保元)』
『증보동의사상신편(增補東醫四象新編)』(원지상, 종합의원사, 1974)
『동의사상처방집(東醫四象處方集)』(염태환, 행림서원, 1974)
주석
주1

몸의 진액이 몹시 소모된 병. 열이 심하거나 땀을 지나치게 흘리거나 만성 소모성 질병을 앓을 때 생긴다.    우리말샘

주2

열의 속성을 가진 사기(邪氣). 병을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우리말샘

주3

몸에 음기(陰氣)가 부족하여 열과 땀이 심하고 식욕이 줄며 기력이 쇠약하여지는 현상. 쉽게 화를 내고, 얼굴이 붉어지며, 입이 마르고, 성욕이 병적으로 높아진다.    우리말샘

주4

공기 따위가 막히거나 가득 참.    우리말샘

주5

기(氣)가 순조롭게 소통되지 못하여 가슴과 배가 답답하고 더부룩한 느낌이 있는 증상.    우리말샘

주6

숨을 몹시 가쁘게 쉬며 헐떡거림.    우리말샘

주7

사기(邪氣)가 가슴 속에 몰려 생긴 증상. 명치 끝에서 하복부에 걸쳐 딴딴하고 아프다.    우리말샘

주8

병을 앓을 때, 한기와 열이 번갈아 일어나는 증상.    우리말샘

주9

‘뇌중풍’을 한방에서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10

생지황을 아홉 번 찌고 아홉 번 말려서 만든 약재. 보혈(補血)ㆍ보음(補陰)하는 효능이 있어 여러 가지 허손(虛損)과 통경(通經)의 치료와 강장제로 쓰인다.    우리말샘

주11

구멍장이버섯과의 버섯. 공 모양 또는 타원형의 덩어리로 땅속에서 소나무 따위의 뿌리에 기생한다. 껍질은 검은 갈색으로 주름이 많고 속은 엷은 붉은색으로 무르며, 마르면 딱딱해져서 흰색을 나타낸다. 이뇨의 효과가 있어 한방에서 수종(水腫), 임질, 설사 따위에 약재로 쓰인다.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우리말샘

주12

택사과에 속하는 질경이택사의 생약명. 잎을 약용하며 젖분비 저하, 만성 기관지염, 나병 따위를 치료하는 데 쓴다.    우리말샘

주13

질경이의 씨를 한방에서 이르는 말. 오줌을 잘 나오게 하고 설사를 다스리며, 눈을 맑게 하고 기침을 그치게 하는 데에 쓰인다.    우리말샘

주14

산형과의 두해살이풀 또는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2미터 이상이며, 잎은 갈라지고 어긋나며 깃 모양이다. 8~9월에 작고 흰 꽃이 가지 끝에 피고 열매는 타원형이다. 도라지와 비슷한 뿌리는 한방에서 해열제와 진통제로 쓰인다. 산지(山地)에 나는데 강원, 경기, 경북, 평북, 함경 등지에 분포한다.    우리말샘

주15

두릅나뭇과의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높이가 1.5미터 정도이며, 잎은 우상 복엽이다. 여름에 연한 녹색 꽃이 산형(繖形) 화서로 피고 열매는 가을에 장과(漿果)로 검게 익는다. 어린잎은 식용하고 뿌리줄기는 겉껍질을 벗겨 말려서 편두통의 치료에 쓴다.    우리말샘

주16

명아줏과의 한해살이풀. 줄기는 높이가 1미터 정도이며, 잎은 어긋나고 긴 타원형의 피침 모양인데 다섯 갈래로 깊이 갈라진다. 여름에 위쪽 잎겨드랑이에 연분홍색 꽃이 수상(穗狀) 화서로 핀다. 열대 아메리카가 원산지로 세계 각지에 분포한다.    우리말샘

주17

산형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1미터 정도이며, 잎은 어긋나고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여름에 흰 꽃이 복산형(複繖形) 화서로 피고, 뿌리는 약용한다.    우리말샘

주18

산수유나무의 열매. 몸을 건강하게 하고 혈기를 왕성하게 하는 효과가 있어 유정(遺精), 야뇨증, 대하 따위에 쓴다.    우리말샘

주19

풍사(風邪)가 육부(六腑)에 있는 중풍. 갑자기 정신을 잃고 넘어졌다가 깨어난 다음에 반신불수가 오고, 입과 눈이 비뚤어지며 말을 제대로 하지 못한다.    우리말샘

주20

얼굴 신경 마비 증상. 입과 눈이 한쪽으로 틀어지는 병이다.    우리말샘

주21

‘반신불수’를 한방에서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22

몸의 진액이 몹시 소모된 병. 열이 심하거나 땀을 지나치게 흘리거나 만성 소모성 질병을 앓을 때 생긴다.    우리말샘

주23

몸과 마음이 허약하고 피로함.    우리말샘

주24

‘기침’을 한방에서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25

물 따위의 음료를 지나치게 많이 먹어서 생기는 병. 가슴과 옆구리가 땅기고 배가 그득하고 물소리가 나면서 다리가 붓는다.    우리말샘

주26

기가 정체되어서 복부가 더부룩하게 불러 오는 증상. 대개 간이나 지라 기능의 장애로 생긴다.    우리말샘

주27

담즙이 원활하게 흐르지 못하여 온몸과 눈 따위가 누렇게 되는 병. 온몸이 노곤하고 입맛이 없으며 몸이 여위게 된다.    우리말샘

주28

잘 잊어버림.    우리말샘

주29

잠을 자지 못함.    우리말샘

주30

경련을 일으키고 의식 장애를 일으키는 발작 증상이 되풀이하여 나타나는 병. 유전적인 경우도 있으나 외상(外傷), 뇌종양 따위가 원인이 되어 나타나기도 한다.    우리말샘

주31

정신이 아찔아찔하여 어지러운 증상.    우리말샘

주32

다섯 가지 종류의 임질. 기림(氣淋), 노림(勞淋), 고림(膏淋), 석림(石淋), 혈림(血淋)을 이른다.    우리말샘

주33

눈에 생기는 병.    우리말샘

주34

비타민 비 원()이 부족하여 일어나는 영양실조 증상. 말초 신경에 장애가 생겨 다리가 붓고 마비되며 전신 권태의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우리말샘

주35

무릎이 붓고 아프며 다리 살이 여위어 마치 학의 다리처럼 된 병.    우리말샘

주36

생식기와 고환이 붓고 아픈 병증. 아랫배가 땅기며 통증이 있고 소변과 대변이 막히기도 한다.    우리말샘

주37

주머니 모양의 혹.    우리말샘

주38

‘음부 가려움증’을 한방에서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39

한약 처방에서 가장 주가 되는 약. 육미지황탕(六味地黃湯)의 숙지황 따위를 이른다.    우리말샘

주40

신(腎)의 생리적 기능의 동력이 되며 생명 활동에서 힘의 근원이 되는 신의 양기(陽氣).    우리말샘

주41

모란 뿌리의 껍질. 맛은 맵고 쓰며 성질은 차서 열을 내리는 데나 월경 불순, 출혈, 피부 반진, 타박상 따위에 쓰인다.    우리말샘

주42

우엉의 씨를 한방에서 이르는 말. 열을 내리고 독을 푸는 작용을 하여 인후염, 홍역 초기, 해수(咳嗽) 따위에 쓰인다.    우리말샘

집필자
송일병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