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미산성 ()

호미산성
호미산성
건축
유적
문화재
삼국시대, 토축 산성.
유적
건립 시기
삼국시대~통일신라
관련 국가
가야, 통일신라
높이
3~5m
둘레
438m
면적
5,752㎡
소재지
경상남도 의령군 정곡면
시도지정문화재
지정기관
경상남도
종목
경상남도 시도기념물(1990년 12월 20일 지정)
소재지
경남 의령군 정곡면
내용 요약

의령 호미산성은 삼국시대 토성으로 축조되었다가 통일신라시대에 석성으로 개축되었다. 호미산성은 남강의 수로를 따라 정암진 방면과 법수면 방면을 조망할 수 있는 요지에 축조되어 있다. 호미산성은 계단상으로 기반층을 정지하고 그 위로 토루를 축조하였는데 북체성 아래에서 6세기 대의 토기가 출토되었고 석축 남체성 하단에서는 8세기로 편년되는 납석제 개가 출토되었다.

키워드
정의
삼국시대, 토축 산성.
형태와 특징

의령 호미산성은 호미산의 정상부(해발 102.5m)에 위치한 석축 산성으로 둘레 438m이다. 진주를 지난 남강이 북쪽으로 흘러가면서 경상남도 의령 죽전리와 경상남도 함안 사정리 사이를 관통하게 되는데 호미산성은 남강의 수로를 따라 정암진 방면과 법수면 방면을 조망할 수 있는 요지에 축조되어 있다. 호미산성은 토성으로 축조되었다가 석축성으로 개축된 것으로 볼 수 있는데 먼저 토성의 기단은 계단식으로 기반암을 정리하고 그 위로 정지층을 주1 주3는 남체성의 3차 ·4차 축성 공정, 서체성의 2차 축성 공정 단계에서 토층선이 비스듬하게 나타나고 10cm 정도 두께로 반복되어 있으며, 층간 구별이 뚜렷하게 나타나는 성토층으로 구성된다. 각 토층은 주4주5를 혼합하거나 점토와 기반암반 편을 혼합하여 쌓아 토루로 흘러드는 물을 차단하고자 하였다.

남체성과 서체성 단면에서 목주열이 확인되었다. 남체성에서는 3열의 목주흔이 관찰되었고 서체성에서는 나무가 부식된 구멍이 확인되어 목주를 세운 흔적으로 파악되었다. 석축부의 면석은 정지된 바닥 위로 주8을 놓고 점판암계 석재를 주9여 쌓아 올렸다. 면석과 뒷채움석의 크기가 거의 동일하고 면석의 입면은 가늘고 긴 직사각형이지만 내부 안쪽으로 돌출되어 있어 판석과 비슷한 모양이다. 이렇게 돌출된 부분을 뒷채움석이 서로 깍지 끼우듯 맞물리게 고정시켰다.

의의 및 평가

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호미산성은 기저부를 다져서 조성하고 그 위로 토축하여 쌓아 올리고 그 외면을 정리하여 석축한 토심 석축성으로 보았다. 그러나 서체성 단면에서 토축과 석축 사이에 수혈이 조성된 것이 확인되는 것은 토축 이후 일정한 시간이 지났음을 보여 준다. 특히 서체성 외벽의 면석을 지대석을 놓은 후 안으로 들여쌓기를 하는 것은 통일신라시대의 축조 수법이다. 또한 수백년 동안 유지된 토심석축성에 아무런 수축 흔적이 없는 것도 한 번에 축조되었다고 보기 어려운 요소이다.

수습된 유물 33점 가운데 남체성 석축 아래에서는 8세기 대의 납석제 개가 확인되었지만 북체성 지대석 하부에서 출토된 것은 6세기 중엽경으로 편년되는 파수부배가 출토되었고 성 내부에서 출토된 토기 또한 6세기를 전후한 토기들이다. 이상과 같은 축성 과정과 유물의 출토 상황을 고려하면, 호미산성은 토심 석축성으로 삼국시대에 축조되어 통일신라시대에 다시 점유된 것으로 보기는 어렵고 오히려 화왕산성 서문지에서 확인된 것처럼 토성으로 축조되었다가 석축성으로 개축되었을 것으로 주2

호미산성의 토축과 석축은 시간 차를 두고 이루어진 것으로 보아야 하고 토축성은 가야가 축성 주체가 되고 석축성은 통일신라가 축성 주체가 된다.

참고문헌

단행본

『의령 호미산성』(의령군·경상문화재연구원, 2011)
『창녕 화왕산성 서성벽-창녕화왕산성(사적 제64호) 정비사업부지 내 유적 발굴조사-』(창녕군·경상문화재연구원, 2021)
주석
주1

의령군·경상문화재연구원, 2011, 『의령 호미산성』

주2

창녕군·경상문화재연구원, 2021, 『창녕 화왕산성 서성벽-창녕화왕산성(사적 제64호) 정비사업부지 내 유적 발굴조사-』

주3

굴착 공사에서, 특정 부분의 지지물로서 임시로 지표에 남긴 커다란 덩어리. 우리말샘

주4

세토(細土) 가운데에서 점토 함량이 50% 이상인 토양. 우리말샘

주5

모래 성분이 많은 흙. 우리말샘

주8

건축물을 세우기 위하여 잡은 터에 쌓은 돌. 우리말샘

주9

돌을 다듬다.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정의도(한국성곽학회)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