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경궁 홍화문 ( )

목차
관련 정보
창경궁 홍화문
창경궁 홍화문
건축
유적
국가유산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에 있는 조선전기 에 건립된 궁궐문. 궁문.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창경궁 홍화문(昌慶宮 弘化門)
분류
유적건조물/정치국방/궁궐·관아/궁궐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보물(1963년 01월 21일 지정)
소재지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 185 (와룡동, 창경궁)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에 있는 조선전기 에 건립된 궁궐문. 궁문.
개설

196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홍화문은 1484년(성종 15)에 건립된 창경궁의 정문으로,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 때에 불에 타서 1616년(광해군 8)에 재건되었다.

내용

창경궁 홍화문(弘化門)은 창경궁 창건 때인 1484년(성종 15)에 처음 지어졌고, 1592년에 임진왜란으로 불탄 뒤, 1616년(광해군 8)에 재건되었다. 그 뒤 1834년의 보수 등 여러 차례의 수리를 겪었으며 1961년 이후의 거듭된 단청공사로 옛 아름다움을 잃었다.

이 문은 정면 3칸(13.35m), 측면 2칸(6.48m)의 2층 우진각지붕건물로, 창경궁(昌慶宮)의 정문(正門)이다. 문 양옆으로 궁장(宮墻: 궁궐을 싸고 있는 돌담)이 이어져 있고, 그 끝에 십자각(十字閣)을 두어 행각(行閣)과 연결하였으며 행각 가운데로 물이 흐를 수 있도록 수각(水閣)을 마련하였다. 물길 한복판에는 옥천교(玉川橋)를 걸쳐놓아 명정문(明政門) 쪽으로 가는 통로로 삼았다.

위층 기둥의 길이는 8척(尺), 아래층 기둥은 14척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공포는 다포계로 포작수가 내7포·외5포이며, 따라서 출목(出目) 수는 내3출목·외2출목이다. 쇠서[牛舌]의 조각 형태가 꼿꼿하고 날카로워 조선 전기의 양식적 특징을 보여주고 있는 점이 주목된다.

1층은 가운데 기둥 사이에 2짝문을 3곳에 달았고 문짝 위에 홍살[紅箭]을 베풀었으며, 그 위쪽 천장의 가운데 칸은 서까래를 노출시키고 양 옆칸은 반은 반자로 막고 반은 노출시켰다.

문 왼쪽(북쪽)에 2층으로 연결되는 꺾은 계단을 가설하였는데 2층은 4면 모두 판장문을 달아 열고 닫을 수 있게 하였고, 바닥에는 마루를 깔았으며 천장은 서까래를 노출시켰다.

공포는 1층의 공포와 동일한 특징을 띠고 있으며, 다만 기둥 사이가 좁아져서 공포의 수가 줄어들었다. 공포 위에는 도리를 얹고 다시 부연(副椽: 서까래)을 내단 겹처마를 받쳤는데 추녀의 사래 끝에 토수(吐首: 龍頭나 鬼頭 모양의 장식)를 끼웠다.

지붕 위에는 회반죽을 바른 높은 마루를 만들고 용마루에는 용을 돋을새김한 취두(鷲頭: 매 머리모양의 장식), 내림마루에는 용두(龍頭)와 잡상(雜像)을 배열하여 건물의 위엄을 나타냈다.

의의와 평가

광해군 때 재건된 창경궁 및 창덕궁의 여러 건물들과 함께 17세기 전반기에 속하는 목조 건축의 연구자료로서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는 건물이다.

참고문헌

『선조실록(宣祖實錄)』
『궁궐지(宮闕誌)』
『서울의 문화재』1(서울특별시 시사편찬위원회, 경인문화사, 2011)
『한국의 고궁건축』(신영훈·장경호, 열화당, 1988)
문화재청(www.cha.go.kr)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