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집 4권 4책, 부록 1책, 합 5권 5책. 목판본.
1716년(숙종 42) 안명술(安明述)·권점래(權漸來) 등의 교정을 거쳐 그의 5세손 국관(國觀)이 간행하였다. 권두에 외후손 안복준(安復駿)의 서문과 제4권의 끝에 국관의 후서(後敍)가 있다.
권1은 태극통체인사도(太極統體人事圖)·성이기도(性理氣圖)·심통성정지도(心統性情之圖)·장자서명도(張子西銘圖)·동명희과도(東銘戲過圖)·사물잠도(四勿箴圖)·극기명도(克己銘圖)·백록동학규도(白鹿洞學規圖)·경재잠도(敬齋箴圖)·숙흥야매잠도(夙興夜寐箴圖), 권2는 소학내외편목도(小學內外篇目圖)·대학성정서공지도(大學誠正序功之圖)·중용중화위육지도(中庸中和位育之圖)·논어언인지도(論語言仁之圖)·맹자부동심지도(孟子不動心之圖)·시풍아송정변지도(詩風雅頌正變之圖)·사무사지도(思無邪之圖) 등의 도식과 해설로 구성되어 있다
권3은 서전모훈고서차도(書傳謨訓誥序次圖)·인심도심도(人心道心圖)·단서경양지도(丹書敬養之圖)·무불경지도(毋不敬之圖), 권4는 역학입문괄례지도(易學入門括例之圖)·사성역학지도(四聖易學之圖)·춘추경세지도(春秋經世之圖)·성현도통전서지도(聖賢道統傳緖之圖)와 첨부된 여씨향약도(呂氏鄕約圖) 등의 도식과 이에 대한 상세한 해설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부록인 권5에는 그의 조카인 태정(泰精)과 김상헌(金尙憲)·정구(鄭逑)·정경세(鄭經世) 등이 찬한 가장·묘지·만장 및 50여 편의 시·서(書)·문목(問目)·잡저 등이 실려 있다. 이 가운데에는 그가 상례(喪禮)에 관해 주변 인물에게 질문한 문목과 유성룡(柳成龍)·권호문(權好文) 등이 그에게 보낸 시·서 등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이 책은 그가 구봉령(具鳳齡)·이황(李滉) 등에게서 폭넓은 지식을 연마한 뒤 노년에 이르러 사간원사간 등 여러 벼슬을 거절하고 유성룡 등과 함께 학문 연마에 매진하며 터득한 지식을 체계화한 것이다. 그리고 이 책과 서로 상관된 저술인 그의 ≪공문언인록(孔門言仁錄)≫보다 앞서 저술한 것이다.
이 책은 당시 학자로서 필수적으로 학습해야 될 경전 및 참고도서에 관한 중국의 정자(程子)·주희(朱熹) 등 100여 명의 학자들의 견해를 토대로, 도식을 통해 체계화시킨 다음 자신의 견해도 부연, 설명한 것이다.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