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봉집 ()

회봉집
회봉집
유교
문헌
조선 후기부터 해방 이후까지 생존한 학자, 하겸진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48년에 간행한 시문집.
정의
조선 후기부터 해방 이후까지 생존한 학자, 하겸진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48년에 간행한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1948년 하겸진의 아들 하영윤(河泳允)과 문하생들이 경상남도 진양군의 덕곡서당(德谷書堂)에서 간행하였다. 그 뒤 1985년 재간추진위원회가 조직되어 양장본 2책으로 영인·재간되었다.

서지적 사항

전간(前刊) 48권, 속간(續刊) 2권, 총 50권 26책. 석인본. 국립중앙도서관과 계명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내용

권1∼8에 부(賦)·사(辭) 3편, 시 1,300여 수, 권9∼20에 서(書) 800편, 권21·22에 답문목(答問目) 36편, 권23∼28에 잡저 120여 편, 권29∼31에 서(序) 140여 편, 권32∼35에 기(記) 180여 편, 권36에 발(跋) 80여 편, 권37에 명(銘) 33편, 잠(箴) 7편, 찬(贊) 3편, 송(頌) 1편, 상량문 12편, 권38에 축문 14편, 제문 41편, 애사 8편, 권39에 비(碑) 29편, 권40에 묘지명 33편, 광명(壙銘) 1편, 묘표 31편, 권41∼46에 묘갈명 250편, 권47에 행장 12편, 권48에 행장 7편, 유사 2편, 서사(書事) 3편, 전(傳) 10편, 속집 권1에 시 5수, 서(書) 29편, 서(序) 14편, 기 25편, 발 9편, 권2에 명 3편, 상량문 2편, 제문 4편, 비 2편, 묘지명 2편, 묘표 9편, 묘갈명 24편, 행장 4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영인본에는 연보·행장·묘지명·묘갈명과 사우록(師友錄)·동시화(東詩話)가 실려 있다.

시는 국내는 물론 멀리 만주까지 두루 답사하면서 풍물과 경관을 읊은 것이 많다. 또한, 각 지방의 명유들과 화답한 작품도 실려 있다. 그 가운데 「이산재연구(伊山齋硏究)」와 「수미음차강절운(首尾吟次康節韻)」은 보기 드문 장시이다.

서(書)는 허유(許愈)·곽종석(郭鍾錫)·장복추(張福樞)·이승희(李承熙)·장석영(張錫英)·송준필(宋浚弼)·이건방(李建芳)·정인보(鄭寅普) 등 수많은 인사들과 철학적인 문제를 논한 글이다. 성리학·양명학·가례를 비롯해 칠서(七書) 전반에 걸친 내용을 담고 있다.

잡저에는 「심위자모설(心爲字母說)」·「천인심도(天人心圖)」·「강유위논어주서조변(康有爲論語註序條辨)」·「상서고문변증(尙書古文辨證)」·「국성론(國性論)」·「동포해(同胞解)」·「필기(筆記)」·「기형설(璣衡說)」 등이 있다. 「기속오(記俗誤)」에서는 관혼상제에서 잘못 시행되고 있는 17가지를 논하였다.

서에는 「대각리지서(大覺里志序)」·「교정삼국사기서(校正三國史記序)」·「입지록서(立志錄序)」·「중속자치통감강목서(重續資治通鑑綱目序)」 등이 있다. 기에는 「노량충렬사기(露梁忠烈祠記)」·「예연서당기(禮淵書堂記)」·「후산서당기(后山書堂記)」 등이 있다. 발에는 「사물잠첩(四勿箴帖)」·「도산시첩(陶山詩帖)」·「공후인(箜篌引)」·「왕양명소선주자만년정론(王陽明所選朱子晩年定論)」·「박연암옥새론(朴燕巖玉璽論)」 등이 있다.

축문에는 「다천서당고성문(茶川書堂告成文)」·「서계서원봉안덕계오선생문(西溪書院奉安德溪吳先生文)」·「덕산서원봉안남명선생문(德山書院奉安南冥先生文)」 등이 있다. 제문에는 곽종석에 대한 3편의 글을 비롯해 허유·이승희·장석영 등에 대한 것이 있다.

비에는 임진왜란 때 수군으로 활약한 이운룡(李雲龍), 병자호란 때 활약한 허한(許僩), 정몽주(鄭夢周), 기계유씨삼효자(杞溪兪氏三孝子) 등에 대한 글이 있다. 전에는 을지문덕(乙支文德)·김유신(金庾信)·강감찬(姜邯贊)·이순신(李舜臣) 등의 전기인 「명장열전(名將列傳)」, 남이(南怡)·김덕령(金德齡)을 다룬 「용장열전(勇將列傳)」 등이 있다.

재간본에는 저자의 연보·행장·묘지명·묘갈명과 사우연원록(師友淵源錄)이 있어 저자의 학문 계보를 알 수 있다. 부록으로 실린 「동시화」는 정인보의 서문을 비롯해 우리나라 시화를 시대순으로 담고 있다.

관련 미디어 (1)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