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성 고기압 ( )

자연지리
개념
중심의 위치가 정체하지 않고 계속적으로 이동하는 고기압.
정의
중심의 위치가 정체하지 않고 계속적으로 이동하는 고기압.
개설

고기압은 중심이 거의 이동하지 않는 정체성인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열적인 원인으로 발달한 고기압은 가장자리에서 가열되면 중심에서 분리되어 이동하는 경우가 있다. 이런 경우는 빠르게 중심이 이동하기 때문에 이동성 고기압이라고 부른다.

내용

이동성 고기압은 열적인 원인으로 형성된 정체성 고기압에서 떨어져 나온 것으로 규모가 작은 것이 일반적이다. 이동성 고기압은 우리나라의 봄과 가을철 기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동성 고기압은 그 중심이 어디에 위치하는 가에 따라서 우리나라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지만, 그 영향 하에서는 대체로 풍속이 약하고 맑은 날씨가 이어진다. 그러므로 이른 봄이나 늦가을에 이동성 고기압의 영향을 받을 때는 농작물이 서리 피해를 입을 수 있고 짙은 안개가 발생하기도 한다.

특히 그 중심이 황해상에 위치하고 있을 경우, 우리나라의 대부분 내륙지방에 짙은 복사안개복사 안개(복사무)가 낀다. 늦겨울 또는 이른 봄철에 이동성 고기압이 우리나라 북동쪽에 위치하는 경우는 북동풍이 불면서 태백산지를 만나서 급하게 상승기류가 발달하기 때문에 영동지방에 폭설이 내릴 수 있다.

현황

우리나라 주변에서 볼 수 있는 이동성 고기압은 대부분 시베리아 주1에서 분리된 것이다. 그러므로 시베리아 고기압이 영향을 미치지만, 봄과 가을철에 그 힘이 강하지 않아 이동성 고기압이 자주 발달한다.

봄과 가을철에 이동성 고기압이 동서로 위치하고 있을 때는 맑은 날씨가 이어진다. 이때 고기압 사이에는 주2이 있으나, 두 고기압 사이의 공기 성질 차이가 적어서 기압골이 크게 발달하지 못한다. 그러므로 봄철에 가뭄이 나타나기도 하며, 가을철에는 쾌청한 날씨가 이어지면서 농작물의 결실과 수확에 도움을 준다.

고기압의 중심이 남북으로 위치하고 있을 때는 북쪽의 것은 한랭하고, 남쪽의 것은 온난하여 그 사이의 기압골이 강화될 수 있다. 겨울철에 두 고기압의 중심이 육지에 자리하고 있을 경우, 야간에는 두 고기압이 강화되므로 그 사이의 기압골이 발달하면서 많은 눈강설현상이 내리기도 한다.

겨울철 우리나라의 중부지방에서 새벽에 예상하지 못한 눈을 종종 볼 수 있다. 그런 눈은 고기압이 남북으로 위치할 때 그 사이의 기압골에서 발생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이때에도 해가 뜨면서 지표면이 가열되면 상승기류가 발달하기 시작하므로 두 고기압은 쉽게 약화되어 눈이 끝난다. 구름도 오전 중에 걷히고 맑은 날씨로 바뀌는 것이 일반적이다. 육지는 밤에 빠르게 냉각되기 때문에 공기 밀도가 높아져 고기압이 강화되며, 해가 뜨면 빠르게 가열되므로 고기압이 약화되는 것이다.

의의와 평가

이동성 고기압은 일년 중 거의 절반에 가까운 날에 우리나라 날씨에 영향을 미친다. 북태평양 주3이 우리나라 날씨를 지배하는 한여름을 제외하면 매 5일마다 2.4.5일 정도의 빈도로 영향을 미친다. 그만큼 우리나라 날씨에 미치는 영향이 중요하다.

그러나 이동성 고기압은 그 중심 위치가 어디인가에 따라서 우리나라의 날씨가 크게 다르다. 그러므로 우리나라의 날씨를 이해하기 위해서 이동성 고기압에 대한 이해가 중요하다.

참고문헌

『기후학』(이승호, 푸른길, 2007)
『자연지리학』(권혁재, 법문사, 1997)
『기상학사전』(김광식, 향문사, 1992)
주석
주1

주로 겨울철에 시베리아에서 생기는 찬 고기압. 우리나라를 포함하여 동아시아에 큰 영향을 미친다. 우리말샘

주2

날씨를 표시한 그림에서, 고기압을 나타내는 선에 둘러싸여 골짜기를 이루는 저기압 구역. 우리말샘

주3

북태평양 동부에 중심을 둔 아열대 고기압. 그 중심 위치는, 여름에는 약간 북상하고 겨울에는 약간 남하한다. 우리나라에는 장마가 끝난 뒤 영향을 미친다. 우리말샘

집필자
이승호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