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양 구인사 금동 구층소탑 ( )

단양 구인사 금동구층소탑
단양 구인사 금동구층소탑
공예
유물
문화재
충청북도 단양군 영춘면 백자리 구인사에 소장되어 있는 고려시대의 소형 금동탑.
정의
충청북도 단양군 영춘면 백자리 구인사에 소장되어 있는 고려시대의 소형 금동탑.
개설

2001년 충청북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고려시대의 사각 9층 소탑으로, 사찰에서 구입한 매장문화재이기 때문에 출토지와 출토 당시의 상황은 확인할 수 없다. 대개 소탑은 개인이 건물 내에 두고 예배의 대상으로 삼거나 탑 내에 안치되는데, 조성 당시의 목조 건축물의 구조를 일정 부분 반영한다. 작은 금동 탑의 예로서는 보기 드물게 각 면에 페르시아풍의 화두창(花頭窓)이 표현되어 있어 그 시대의 문화 교류와 영향을 보여 준다.

내용

우리나라에서 금·금동·청동으로 주조된 작은 불탑은 현재 20여 기가 남아 있다. 대부분 고려시대에 만들어졌으며, 크기는 4.5~155㎝로 다양하나 대체로 10~20㎝ 정도이다. 이 구인사 금동구층소탑은 전체 높이가 27㎝로, 소실된 부분을 감안하면 규모가 상당히 큰 편에 속한다.

이 소탑은 땅 속에 묻혀 있었던 듯 일부 내부 부재 틈에는 아직도 소량의 흙덩어리들이 남아 있다. 대체로 탑의 모습은 잘 보존되어 있으나 습기가 직접 닿았던 때문인지 다소 손상되었다. 청동 위에 도금된 금칠이 여러 곳에서 확인되지만 전체적으로 청동 녹으로 부식되어 있다. 특히 다른 곳보다 얇은 각 층 탑신 부위는 그 정도가 심하여 기둥의 형태가 원형으로 일부 변형되거나 페르시아풍 영창이 박락된 곳도 있다. 지붕 위 용머리와 잡상도 부식과 탈락이 많다. 현재 초층 탑신부 아래 부재들을 포함한 기단부와 복발 위 상륜 부재는 남아 있지 않다.

탑은 5층까지 각 층으로 분리되며 하나의 층은 탑신·옥개석·상층난간이 함께 주조되었고, 6층에서 9층까지와 노반, 복발은 하나의 구조로 만들어졌다. 각 층 기둥은 사각으로 안쏠림이 보이며 5층까지는 4개, 6층과 7층은 3개, 8층과 9층은 2개로 표현되었다. 6층까지 표현된 난간에는 상부가 3엽형인 풍혈 3구씩이 투각되어 있어 페르시아풍 화두식 창과 잘 어울린다.

난간이나 받침 등이 전혀 남아 있지 않은 초층 탑신은 2개의 사이 기둥을 두어 세장하게 구획하고 각 벽면 상단에 페르시아풍 영창이 우아하게 표현되었는데, 문양이 조각되었는지는 확인할 수 없다. 기둥을 연결하는 창방이 있으며 사각 기둥들은 부식이 심하여 원형으로 보이기도 한다. 난간을 포함한 2층 탑신의 높이는 초층의 1/3 정도로 갑자기 낮아지며 이것이 나머지 층들의 높이와 비슷하다.

전체적으로 탑은 옥개석이 서로 중첩되어 있는 밀첨식 형태를 보인다. 각 층 옥개석은 기와골이 정연하며 네 모서리에는 우동마루도 뚜렷하다. 우동마루 끝에는 용머리, 그리고 그 뒤로 잡상 1구씩이 장식되어 있고, 용머리에는 풍경을 달았던 구멍이 남아 있다. 처마 밑 부분에는 물끊기 홈이 모각되어 있다. 상륜부는 노반과 복발이 주조되어 남아 있으며, 복발 상부 중앙에는 지름 0.5㎜의 구멍이 탑 내부와 관통되어 있다.

이 탑은 조립을 위하여 4층까지는 네 모서리 상단에 작은 삼각형 받침대를 두었으며, 5층 상단에는 두 면에 연접한 넓은 직사각형 돌출부 두 곳을 대칭으로 마련해 상층의 구조물을 지탱할 수 있게 하였다. 한편, 5층과 6층의 체감 비율이 눈에 띄게 급격하고, 복발 상부의 현상에 비추어 상륜부를 장치할 때 이를 고정시킬 수 있는 중간 밑면 구조물이 필요하다는 점 등을 고려하면 이 부분의 일부 탑신들도 유실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특징

현재 페르시아풍 영창이 표현된 유물은 1085년(선종 2)에 세워진 법천사 지광국사현묘탑(法泉寺智光國師玄妙塔), 1379년(우왕 5)에 조성된 여주 신륵사 보제존자석종(神勒寺普濟尊者石鐘) 앞 석등, 14세기경으로 추정되고 있는 양평 수종사(水鐘寺) 경내에 있는 부도에서 출토된 금동제 9층탑 등이 있다. 이 구인사소탑의 양식은 기둥으로 벽면을 세장하게 나누고 상단에 영창을 표현한 신륵사 보제존자석등과 수종사 부도 출토 금동제 9층탑과 유사성이 보이며, 난간이 표현되고 밀첨식 형태를 보인다는 점에서는 수종사 출토 예와도 비교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의의와 평가

이 구인사 금동구층소탑은 손상되었으나 소탑 중에서는 눈에 띄는 수작으로서, 출토 상황이 밝혀진다면 그 문화재적 가치가 높아질 것이다.

참고문헌

「고려 금동탑을 통해 본 법주사 팔상전의 구조형식계통」(김경표, 『건축역사연구』14, 한국건축역사학회, 2005)
「유물에 보이는 기둥 단면형에 관한 연구」(양재형·주남철, 『대한건축학회논문집』19, 대한건축학회, 2003)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강병희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