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서 ()

한문학
문헌
고려시대 문인 정서(鄭敍)가 선대(先代)의 시문에 대한 비평과 시화를 엮어 편찬한 시화집.
이칭
이칭
습기잡서(習氣雜書)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고려시대 문인 정서(鄭敍)가 선대(先代)의 시문에 대한 비평과 시화를 엮어 편찬한 시화집.
개설

고려가요(高麗歌謠) 「정과정곡(鄭瓜亭曲)」의 작자인 정서가 동래(東萊)에 유배 가 있을 때 선대(先代)의 시문에 대한 비평과 시화(詩話)를 엮어 편찬한 우리나라 최초의 시화집이다.

편찬/발간 경위

정서가 인종(仁宗)의 비(妃) 공예태후(恭叡太后) 동생의 남편으로서 총애를 받았으나 정함(鄭諴)김존중(金存中, ?∼1156) 등의 모함을 받아 20년 동안 동래에서 유배생활을 할 때 『잡서(雜書)』를 편찬한 것으로 보인다. 임춘(林椿)이 정서의 시에 차운한「차운정시랑서시병서(次韻鄭侍郞敍詩幷序)」에 “한가로이 사노라니 여가가 많아, 장구(章句)를 찾고 또 선발했네. 느낀 바 심정을 글에다 부치니, 잡다한 내용이 종이마다 가득하네(閑棲多暇日 章句搜且摘 感憤寓諸文 紛紛盈簡策)”에서 저간의 사정을 짐작할 수가 있다. 유배지에서 한적한 생활을 하며 선인(先人)들의 시문을 초선(抄選)하고 그 시문에 대한 품평(品評)을 부쳐『잡서』를 편찬한 것이다. 이장용(李藏用, 1201∼1272)의 「보한집 발문(補閑集跋文)」에 의하면 이 책의 정식 이름은『습기잡서(習氣雜書)』였으며, 최자(崔滋, 1188∼1260)는 이장용의 집에 소장되어 있던 이 책을 구입하여 『속파한집(續破閑集)』의 뒤에 붙였다고 한다.

서지적 사항

3권으로 편찬되었다고 하나, 현전하지 않아 자세한 서지사항은 알 수가 없다. 최숙정(崔淑精, 1433∼1480)이 「동인시화후서(東人詩話後序)」에서 전대(前代)의 비평가로 정서, 이인로(李仁老, 1152∼1220), 김태현(金台鉉, 1261∼1330), 최자, 이제현(李齊賢, 1287∼1367)을 언급하고 있는 것으로 봐서 조선 전기까지는 전해진 듯하다.『잡서』에 관한 기록은 『보한집(補閑集)』권상,『해동문헌총록(海東文獻總錄)』의「제가잡저술(諸家雜著述)」등에 보인다.

의의와 평가

최자가 『잡서』를 『속파한집』의 뒤에 붙인 것은 두 책이 같은 성격의 저술이었기 때문이다. 이장용도 『잡서』를 신화류(新話類)라 하였는데, 이는『잡서』가 시화집이었음을 말해 주는 것이다. 최자가 『보한집』에서 정서가 『잡서』에 최유선(崔惟善, ?∼1075)의 「규정시(閨情詩)」와 「소시(梳詩)」를 뽑아 넣은 사실을 높이 평가한 대목에서 그러한 흔적을 찾을 수가 있다. 이와 같이 『속파한집』의 부록인 『잡서』의 일부 내용이 『보한집』에 나오는 것은 최자가 선사(善寫) 과정에서 『잡서』를 인용하고 거기에 자신의 의견을 덧보탰기 때문이다. 즉 『속파한집』에 『잡서』의 내용을 부분적으로 편입한 것이 『보한집』인 셈이다.

현전하는 최고(最古)의 시화집은 이인로의『파한집(破閑集)』이지만, 시기적으로 정서의 『잡서』가 우리나라 최초의 시화집에 해당한다. 따라서 고려시대 비평사의 단초(端初)를 열었다는 점에서 새롭게 자리매김할 필요가 있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동문선(東文選)』
『동인시화(東人詩話)』
『보한집(補閑集)』
『서하집(西河集)』
『해동문헌총록(海東文獻總錄)』
「고려시대의 일실 시화, 시평집 고찰-잡서, 속파한집, 동국문감을 중심으로-」(김건곤,『정신문화연구』94, 한국학중앙연구원, 2004)
「중국 국가도서관 장본『보한집』과 고려 이장용 발문」(박천규,『한민족어문학』40, 한민족어문학회, 200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