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양경시집 ()

한문학
문헌
고려 후기의 문인, 김양경의 시가와 산문 등을 수록한 시문집.
목차
정의
고려 후기의 문인, 김양경의 시가와 산문 등을 수록한 시문집.
내용

『김양경시집(金良鏡詩集)』에 관한 기록은 『허백당집(虛白堂集)』 권6과 『해동문헌총록(海東文獻總錄)』의 「제가시문집(諸家詩文集)」 등에 보인다. 성현(成俔, 1439~1504)이 「김양경시집서(金良鏡詩集序)」를 지었다. 후손 가구(可搆)가 한시 수십여 수(首)를 모아 유고(遺稿)를 편찬하였다고 한다. 문집이 현전하지 않아 서지와 내용을 자세히 알 수가 없다. 『동문선』에 한시 9수와 산문 5편이 전하고 있다. 그는 청신(淸新)한 시를 잘 지었는데, 〈서대관전보좌후장무일도상(書大觀殿黼座後障無逸圖上) 〉과 〈궁사(宮詞)〉가 대표작으로 꼽힌다.

김양경은 본관이 경주(慶州)이고, 후에 인경(仁鏡)으로 개명하였다. 문(文)·무(武)·이(吏) 세 가지 재능을 겸비하였으며 예서(隸書)를 잘 썼다. 명종 때 과거에 급제하고, 조충(趙沖, 1171~1220)을 따라 거란을 토벌한 공로가 있었다. 1227년(고종 14)에는 수찬관(修撰官)으로 『명종실록』을 찬수하였다. 근체시(近體詩)와 부(賦)를 잘 지었으므로 「한림별곡(翰林別曲)」(『고려사』 권20 「악지(樂志)」 2)에서 “양경시부(良鏡詩賦)”라 칭송하였다.

의의와 평가

서지와 내용을 확인할 수 없는 부전(不傳) 문집이라 그 의의를 구체적으로 논할 수 없으며, 다만 산견된 기록을 종합하여 문집의 존재를 밝힐 수 있게 되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동문선(東文選)』
『보한집(補閑集)』
『해동문헌총록(海東文獻總錄)』
『허백당집(虛白堂集)』
「김인경 (金仁鏡)의 삶과 시」(이구의, 『동방한문학』 14, 동방한문학회, 1998)
「『해동문헌총록』 소재 고려 문집 연구─부전(不傳) 문집을 중심으로」(김건곤, 『장서각』 18, 한국학중앙연구원, 2007)
집필자
김건곤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