율정집 ()

한문학
문헌
고려 후기의 문인, 윤택의 시가와 산문 등을 수록한 시문집.
목차
정의
고려 후기의 문인, 윤택의 시가와 산문 등을 수록한 시문집.
내용

『율정집(栗亭集)』에 관한 기록은 『고려사』 권106 「윤택열전」과 『용재총화』 권8, 『대동운부군옥』의 「찬집서적목록(纂輯書籍目錄)」, 『해동문헌총록』의 「제가시문집(諸家詩文集)」 등에 보인다. 이색(李穡, 1328∼1396)이 쓴 「율정선생일고서(栗亭先生逸藁序)」(『목은문고(牧隱文藁)』 권8)는 그 서문이다. 이에 따르면, 집에 화재가 나서 문서를 모두 잃어버렸는데, 손자 윤소종(尹紹宗, 1345∼1393)이 수습하여 일고(逸藁)를 편찬하였다고 한다. 『율정집』은 현전하지 않아 서지와 내용을 알 수가 없다. 윤택의 시는 『동문선』에 4수가 뽑혀 있으며, 「종의릉연행원(從毅陵宴杏園)」이 유명하다.

윤택은 본관이 무송(茂松: 전북 고창)이고, 자가 중덕(仲德), 호가 율정이다. 충숙왕 때 급제하고 공민왕에게 발탁되어 건의한 것이 많았다. 일찍이 북송 학자 범중엄(范仲淹, 989~1052)의 「악양루기(岳陽樓記)」 중의 ‘근심을 먼저 하고 즐거움을 뒤로 한다(先憂後樂之言)’는 구절을 애송하였으며, 찬성사(贊成事)로 있다가 치사(致仕: 나이가 많아 벼슬을 사양하고 물러남)하고 금주(錦州: 충남 금산)로 돌아가서 산수 간에 노닐며 즐겼다. 공민왕이 손수 초상화를 그리고, ‘율정(栗亭)’ 두 글자를 큰 글씨로 써서 하사한 바 있다.

의의와 평가

서지와 내용을 확인할 수 없는 부전(不傳) 문집이라 그 의의를 구체적으로 논할 수 없으며, 다만 산견된 기록을 종합하여 문집의 존재를 밝힐 수 있게 되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대동운부군옥(大東韻府群玉)』
『동문선(東文選)』
『목은집(牧隱集)』
『용재총화(慵齋叢話)』
『해동문헌총록(海東文獻總錄)』
「『해동문헌총록』 소재 고려 문집 연구─부전(不傳) 문집을 중심으로」(김건곤, 『장서각』 18, 한국학중앙연구원, 2007)
집필자
김건곤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