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온 ()

목차
한문학
인물
고려 후기에, 예빈시경, 나주목사 등을 역임한 문신.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미상
본관
여양(驪陽)
주요 관직
예빈시경|나주목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고려 후기에, 예빈시경, 나주목사 등을 역임한 문신.
생애 및 활동

진온(陳溫)은 본관이 여양(驪陽: 홍성)이고, 진준(陳俊, ?1179)의 손자이자 진화(陳澕)의 동생이다. 할아버지 진준은 무장(武將)으로 참지정사(參知政事)·판병부사(判兵部事)를 지냈으며, 성품이 순박하고 정직하여 정중부(鄭仲夫)의 난 때 문신들이 화를 면하게 보호해 주었다. 그 음덕(蔭德)으로 손자 진식(陳湜), 진화, 진온이 모두 과거에 급제하여 문장으로 이름이 났다고 한다. 형인 진화는 호가 매호(梅湖)이고, 직한림원(直翰林院)과 우사간·지제고(右司諫知制誥)를 지냈다. 시를 잘 지어 이규보(李奎報, 11681241)와 당대에 이름을 나란히 하였으므로 「한림별곡(翰林別曲)」에서 “이정언(李正言) 진한림(陳翰林) 쌍운주필(雙韻走筆)”이라 칭송하였다. 『동문선』에 40여 수의 한시가 뽑혀 있으며, 조선 정조 때 후손들이 편찬한 『매호유고(梅湖遺稿)』가 전한다.

진온은 1213년(강종 2)에 과거에 급제하여 벼슬이 예빈시경(禮賓寺卿)에 이르렀으며, 나주목사(羅州牧使)를 역임하였다. 이후 후손들이 여양 진씨에서 떨어져 나와 나주를 본관으로 삼음에 따라 나주 진씨의 시조가 되었다. 그의 시문은 『동문선』 권20에 7언절구 ‘사시사(四時詞)’ 4수가 전한다. 춘하추동 사계절의 정취를 차례로 읊은 것으로, 〈춘〉과 〈추〉가 여러 시선집(詩選集)에 거듭 뽑혀 있다. 진화의 『매호유고』 부록에도 「예빈경공시(禮賓卿公詩)」라는 제목 아래에 약전(略傳)과 함께 수록되어 있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동문선(東文選)』
『매호유고(梅湖遺稿)』
『성씨(姓氏)의 고향』(중앙일보사, 2002)
「진화론(陳澕論)」(김성기, 『한국한시작가연구』 1, 태학사, 1995)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