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정집 ()

한문학
문헌
고려 후기의 문신, 염흥방의 시가와 산문 등을 수록한 시문집.
목차
정의
고려 후기의 문신, 염흥방의 시가와 산문 등을 수록한 시문집.
내용

『동정집(東亭集)』은 현전하지 않아 서지와 내용을 자세히 알 수가 없다. 『동정집』에 관한 기록은 『용재총화』 권8, 『해동문헌총록』의 「제가시문집(諸家詩文集)」 등에 보인다. 『용재총화』에는 그 분량이 1질이라고 하였다. 현전하는 그의 시문은 7언절구 〈침류정(枕流亭)〉이 『동문선』 권22에 1수, 『대동시선』 권1에 3수가 뽑혀 있다. 침류정은 그가 여주(驪州) 천녕현(川寧縣)에서 귀양살이 할 때 물가에 걸터앉은 모양으로 지은 정자이다. 이색(李穡, 1328~1396)이 〈침류정기(枕流亭記)〉를 지어주었다.

염흥방은 본관이 서원(瑞原: 파주)이고, 호가 동정(東亭)이다. 곡성부원군(曲城府院君) 염제신(廉悌臣, 1364~1382)의 아들로, 공민왕 때 문과에 장원급제하였다. 홍건적을 물리치고 제주도 목호(牧胡)의 난을 평정하여 공을 세웠으나, 당시 권신(權臣)이던 이인임(李仁任, ?~1388)의 뜻에 거슬려 정몽주(鄭夢周, 1337~1392) 등과 유배되기도 하였다. 젊어서 학문에 뛰어나 여러 번 동지공거(同知貢擧)를 맡았고 개혁을 주창하였지만, 간신 임견미(林堅味, ?~1388)와 사돈이 된 후로 청렴한 문신들을 몰아내고 매관매직을 자행하며 남의 토지와 노비를 강탈하였다. 그가 주살되자 사람들이 도로에 나와 노래하고 춤을 추었다고 한다. 그의 행적은 『고려사』 권126 「임견미열전」에 자세하다. 이색이 지은 〈어은기(漁隱記)〉는 그의 다른 호(號)에 대한 기문으로, 위인(爲人)을 미화해 놓고 있다.

의의와 평가

서지와 내용을 확인할 수 없는 부전(不傳) 문집이라 그 의의를 구체적으로 논할 수 없으며, 다만 산견된 기록을 종합하여 문집의 존재를 밝힐 수 있게 되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대동시선(大東詩選)』
『목은집(牧隱集)』
『용재총화(慵齋叢話)』
『해동문헌총록(海東文獻總錄)』
「『해동문헌총록』 소재 고려 문집 연구─부전(不傳) 문집을 중심으로」(김건곤, 『장서각』 18, 한국학중앙연구원, 2007)
집필자
김건곤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