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수집 ()

한문학
문헌
고려후기부터 조선전기까지 생존한 학자 김지가 중국과 고려의 시문을 모아 엮은 시문선집.
목차
정의
고려후기부터 조선전기까지 생존한 학자 김지가 중국과 고려의 시문을 모아 엮은 시문선집.
내용

김지가 고금의 시문(詩文) 약간 권(卷)을 모으고 이색(李穡, 1328∼1396)에게 제목을 구하자 이색이 『선수집(選粹集)』이라 이름 지어주었다. ‘선(選)’은 양(梁)나라 소통(蕭統, 501~531)의 『문선(文選)』에서, ‘수(粹)’는 송(宋)나라 요현(姚鉉, 968∼1020)의 『당문수(唐文粹)』에서 취한 것으로, 곧 정수(精髓)를 뽑았다는 뜻이었다. 이색이 쓴 「선수집서」에 따르면, ‘김경숙(金敬叔)이 편찬했다’고 하였는데, 김경숙은 김지이다. 문헌 기록 중에 편자가 김구용(金九容, 1338~1384)으로 된 것은 잘못이다. 권문해(權文海, 1534~1591)가 『대동운부군옥』을 편찬하면서 『선수집』을 김경지(金敬之, 김구용의 자)가 편찬했다고 잘못 소개하고, 김휴(金烋, 1597~1638)가 이를 참조하여 『해동문헌총록』을 편찬하면서 김구용으로 정리하였기 때문에 오류가 생긴 것이다.

김지의 생애와 활동은 자세하게 알려져 있지 않다. 1362년(공민왕 11)에 과거에 급제하고 문학에 뜻이 독실하였으며, 특히 해서(楷書)를 잘 써서 공민왕의 칭찬을 받았다. 또 낮은 벼슬을 하면서도 책을 수백 권 수집하였으며, 중년에 벼슬을 마다하고 물러나 문장을 모으고 전고(典故)를 상고하여 노년에 『선수집』과 『주관육익(周官六翼)』을 편찬하였다고 한다.

『선수집』은 현전하지 않는다. 이색이 쓴 「선수집서」와 「증김경숙비서시서(贈金敬叔秘書詩序)」(『목은문고』 권9)를 통하여 책의 성격을 짐작해 볼 수가 있다. 「선수집서」에 의하면, 이 책은 ‘고금의 시문’을 대상으로 했다고 하였다. 김휴는 이를 중국의 글을 모은 것으로 보고 ‘중국시문찬술(中國詩文撰述)’로 분류하였다. 그러나 이색의 두 서문을 보면 중국과 고려의 시문을 함께 선발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증김경숙비서시서」에서 “김경숙이 우리나라에 선집(選集)이 적은 것에 발분하여 『동국문감(東國文鑑)』이나 『동인지문(東人之文)』과 같은 종류의 시문선집을 편찬하였다.”고 한 언급을 통해 우리나라의 시문이 포함되었음을 알 수가 있다.

의의와 평가

서지와 내용을 확인할 수 없는 부전(不傳) 문집이라 그 의의를 구체적으로 논할 수 없으며, 다만 산견된 기록을 종합하여 문집의 존재를 밝힐 수 있게 되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참고문헌

『대동운부군옥(大東韻府群玉)』
『목은집(牧隱集)』
『해동문헌총록(海東文獻總錄)』
「고려시대의 시문선집」(김건곤, 『정신문화연구』 68,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7)
「김지(金祉)의 『선수집(選粹集)』·『주관육익(周官六翼)』과 그 가치」(허흥식, 『규장각』 4, 서울대학교, 1981)
집필자
김건곤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