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상국집 ()

한문학
문헌
고려 후기의 문인, 최자의 시가와 산문 등을 수록한 시문집.
목차
정의
고려 후기의 문인, 최자의 시가와 산문 등을 수록한 시문집.
내용

최자의 문집명이 『최상국집(崔相國集)』으로 기록된 예는 『해동문헌총록』의 「제가시문집(諸家詩文集)」에 보인다. 8권이라고 되어 있다. 또한 『고려사』 권102 「최자열전」에는 “가집(家集) 10권이 세상에 전한다.”고 기록되어 있다. 그가 종2품 이상의 관원, 즉 문하시랑(門下侍郞) 동중서문하평장사(同中書門下平章事)를 지냈기 때문에 문집명에 ‘상국’이라 붙인 것이다. 문집이 현전하지 않아 서지와 내용을 알 수가 없다. 그의 시문은 『동문선』에 부(賦) 2수, 한시 12수, 산문 15편 등이 뽑혀 있으며, 대표적인 시작(詩作)으로 「국자감직려문채진봉학려(國子監直廬聞採眞峰鶴唳)」가 알려져 있다. 한편 그가 지은 시화집(詩話集)으로 『보한집』 3권이 현전하고 있어, 고려시대 비평연구의 소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최자는 본관이 해주(海州)이고 자가 수덕(樹德)으로, 문헌공(文憲公) 최충(崔沖, 984~1068)의 후손이다. 타고난 성품이 순후(淳厚)하고 말수가 적었다. 어려서부터 학문에 힘써 글을 잘 지었으나 강종 때 과거에 급제한 후 10년간 학관(學官)으로 머물며 승진하지 못하였다. 그가 지은 「우미인초가(虞美人草歌)」와 「수정배시(水精盃詩)」를 이규보(李奎報, 1168~1241)가 보고 기특하게 여겨 당시 실권자 최이(崔怡, ?∼1249)에게 추천하여 대신 문병(文柄)을 잡게 하였다.

의의와 평가

서지와 내용을 확인할 수 없는 부전(不傳) 문집이라 그 의의를 구체적으로 논할 수 없으며, 다만 산견된 기록을 종합하여 문집의 존재를 밝힐 수 있게 되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동문선(東文選)』
『보한집(補閑集)』
『해동문헌총록(海東文獻總錄)』
「최씨정권(崔氏政權)의 보한집(補閑集) 편간의도(編刊意圖)에 대하여」(이종문, 『한국학논집』 15, 계명대, 1988)
「『해동문헌총록』 소재 고려 문집 연구─부전(不傳) 문집을 중심으로」(김건곤, 『장서각』 18, 한국학중앙연구원, 2007)
집필자
김건곤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