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재집 ()

한재집
한재집
유교
문헌
조선 전기의 학자, 이목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14년에 중간한 시문집.
정의
조선 전기의 학자, 이목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14년에 중간한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1914년 이목의 후손 이존원(李存原)과 이응호(李膺浩) 등이 구본(舊本)에서 빠진 원고를 보충하여 편집·중간하였다. 중간서(重刊序)는 송병화(宋炳華)가 썼는데, 저자의 일생을 평가하고 중간하게 된 경위를 밝혔다.

서지적 사항

2권 1책. 목활자본. 장서각 도서·국립중앙도서관·국사편찬위원회 등에 있다. 국사편찬위원회 소장본에는 부록이 있다.

내용

권상(卷上)에 사부(詞賦) 10편, 시 32수, 권하에 송(頌) 1편, 책(策) 3편, 기(記)·해(解)·제문 각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부는 찬양하거나 경계한 글, 풍자하거나 서정을 토로한 글 등 주제가 다양하다. 「홍문관부(弘文館賦)」 서문에서는 부의 역사와 의미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작품을 지은 동기를 말하였다. 본문에서는 옛 성현의 가르침을 전하는 홍문관의 높은 뜻을 기리고 있다. 「여융부(女戎賦)」에서는 여희(驪姬)의 고사를 들어 역사적인 교훈을 찾고 있다.

「입춘부(立春賦)」에서는 봄이 온 것이 임금의 정치가 잘 이루어짐을 의미한다고 하여 훌륭한 치세를 찬미하였다. 「허실생백부(虛室生白賦)」는 『장자(莊子)』에 나오는 구절을 풀이한 글로, 서문에서는 이단인 장자의 설을 수용하는 데 대한 변명을 적었다. 이 밖에도 「다부(茶賦)」·「영주사부(永州蛇賦)」·「삼도부(三都賦)」 등이 있다.

시는 대개 증여시나 유람시가 많으며, 주로 자연의 경치나 교유의 정을 묘사하였다. 「양재역(良才驛)」에서는 농사꾼의 고된 생활과 떠돌아다니는 나그네의 이질적인 생활상을 대비시켜 묘사하였다.

「절명가(絶命歌)」는 무오사화 때 사형당하면서 부른 것으로 보인다. 까마귀와 백로로써 당시 사회 실정과 자신의 신세를 풍자하였다. 제목 아래 ‘반언(反諺)’이라고 한 것을 보면, 원래는 2수의 시조였던 듯하다. 「봉명조양송(鳳鳴朝陽頌)」은 천자의 장수와 공덕을 기린 글이다.

책은 천문의 변화에 따른 인간사의 변화, 치란흥망의 책임, 인재 선발 등의 문제에 대해 논의한 것이다. 「상경조운해(象耕鳥耘解)」는 순(舜)임금의 덕이 금수까지 감화시킬 수 있었음을 변증한 것이다. 「제윤정승호문(祭尹政丞壕文)」은 성종의 장인인 윤호에 대한 제문이다.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김건곤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