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계문집 ()

목차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박세도의 시 · 서(書) · 기 · 제문 등을 수록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박세도의 시 · 서(書) · 기 · 제문 등을 수록한 시문집.
내용

2권 1책. 목판본. 후손 시주(時澍)·계진(煃鎭) 등이 편집, 간행하였으며, 간행연도는 나타나 있지 않다. 권두에 유필영(柳必永)의 서문과, 권말에 김도화(金道和)의 발문 및 허훈(許薰)의 「봉산정중건상량문(鳳山亭重建上樑文)」이 있다. 장서각 도서에 있으며 필사본이 규장각 도서와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권1에 시 56수, 서(書) 20편, 권2에 서(序) 2편, 기(記) 2편, 잡저 3편, 축문 3편, 제문 5편, 가장 1편, 부록으로 저자에 대한 만시·유사·묘갈명 등이 수록되어 있다. 이 중 「상미수허선생(上眉叟許先生)」은 장관의 지위에 오른 허목(許穆)에게 구강서원(鷗江書院)의 사액을 건의해달라고 부탁하는 내용의 편지글이다.

「유신계서(有信契序)」는 울산의 동지 42인과 조약을 세워 월(月)·계(季)·연(年)별로 회강(會講)하는 계를 맺으면서 붙인 서문이다.

“부자(父子)·군신(君臣)·장유(長幼)·부부(夫婦)의 도리는 붕우(朋友)가 아니면 강론할 방법이 없고, 강론하는 방법도 신(信)이 아니면 남에게 고하여 감동을 줄 수 없다.”고 하면서, ‘신’의 의미를 곡진하게 피력하였다.

「괄마록서(刮磨錄序)」는 주(周)·정(程)·장(張)·주(朱)의 저서에서 중요대목을 발췌하여 정리한 자신의 편찬서에 붙인 서문이다.

「봉산정사기」는 자신의 은거처를 ‘봉산’이라 명명한 것은 산이름을 딴 것뿐이라 전제하면서도, 이어 봉황새를 통하여 출처행장(出處行藏)에 초연한 경지를 표방한 것이 아니냐고 따져 묻는 객에게 딴청을 피우는 식의 대화를 묘미있게 서술하면서 자신의 속뜻을 나타내었다.

집필자
김건곤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