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종창화집 ()

한문학
문헌
고려 전기에, 제16대 왕 예종이 문신 곽여 등과 창화한 내용을 수록한 시문집.
목차
정의
고려 전기에, 제16대 왕 예종이 문신 곽여 등과 창화한 내용을 수록한 시문집.
내용

『예종창화집((睿宗唱和集)』에 관한 기록은 이규보(李奎報, 1168~1241)의 「예종창화집발미(睿宗唱和集跋尾)」(『동국이상국집』 권21), 『용재총화』 권8과 『해동문헌총록』의 「제가시문집(諸家詩文集)」 등에 보인다. 이규보는 위의 글에서 군신간의 창화를 태평성대의 성사(盛事)로 기리는 한편, 당시에 태어나지 않아 그 말석에 참여하지 못해 아쉽다고 하였다. 예종(재위 1105~1122)은 고려가요 「벌곡조(伐谷鳥)」와 「도이장가(悼二將歌)」를 지은 바 있는데, 이 군신간의 창화집을 통해 호문(好文)의 군주로서의 면모를 짐작할 수가 있다. 『용재총화』에는 『예종창화집』이 2질(帙)이라 하였으나, 현전하지 않는다. 한편 고려 제25대 왕 충렬왕은 『용루창화집(龍樓唱和集)』을 남긴 바 있다.

예종과 창화한 곽여는 본관이 청주(淸州)이고 자가 몽득(夢得)이다. 어려서부터 학문에 힘써 문장, 도교, 불교, 의학, 약학, 음양학, 활쏘기, 말타기, 거문고, 바둑에 두루 능하였다. 과거에 급제하여 예부원외랑(禮部員外郞)을 지내고 금주(金州, 김해)에 은거하고 있을 때 궁중으로 불려 들어갔다. 곽여가 항상 검은 두건을 쓰고 학창의(鶴氅衣: 학의 날개처럼 만든 옷)를 입고 예종을 모셨으므로, 당시 사람들이 금문우객(金門羽客: 궁궐을 드나드는 도사, 신선)이라 불렀다. 뒤에 예종이 약두산(若頭山: 개성 동쪽에 있는 산) 한 봉우리를 하사하여 살게 하면서 호를 동산처사(東山處士)라 하였고, 죽자 진정(眞靜)이라는 시호를 내렸다. 예종이 곽여의 산재(山齋)로 미행(微行)을 나갔다가 만나지 못하고 10운 시를 써서 벽에 걸어두고 돌아가자 곽여가 그 시에 화답한 일화(『파한집』 권중)가 유명하다. 곽여의 화답시는 「동산재응제시(東山齋應製詩)」(『동문선』 권11)이다.

의의와 평가

서지와 내용을 확인할 수 없는 부전(不傳) 문집이라 그 의의를 구체적으로 논할 수 없으며, 다만 산견된 기록을 종합하여 문집의 존재를 밝힐 수 있게 되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
『동문선(東文選)』
『용재총화(慵齋叢話)』
『파한집(破閑集)』
『해동문헌총록(海東文獻總錄)』
「『해동문헌총록』 소재 고려 문집 연구─부전(不傳) 문집을 중심으로」(김건곤, 『장서각』 18, 한국학중앙연구원, 2007)
집필자
김건곤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