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동록 ()

한문학
문헌
고려 후기의 문인, 설손의 시가와 산문 등을 수록한 시문집.
목차
정의
고려 후기의 문인, 설손의 시가와 산문 등을 수록한 시문집.
내용

1358년(공민왕 7) 고려에 귀화한 설손이 압록강을 건넌 이후 1년 사이에 지은 시문 300여 수를 1질(秩)로 만들고 이름을 『지동록(之東錄)』이라 붙였다. 『지동록』에 관한 기사는 설손의 아들 설장수(偰長壽, 1341~1399)가 쓴 「근사재일고발(近思齋逸藁跋)」(『동문선』 권103)과 『해동문헌총록』의 「제가잡저술(諸家雜著述)」 등에 보인다. 『지동록』은 현전하지 않아 서지와 내용을 자세히 알 수가 없다. 『근사재일고』는 설손의 문집인데, 고려로 귀화한 후에 원나라에 있을 때 지은 시문 중 기억에 남은 700여 수를 2질(秩)로 편찬한 것이다. 역시 전하지 않는다.

설손은 위구르[回鶻] 사람으로, 대대로 설연하(偰輦河)에서 살았으므로 설(偰)을 성으로 삼았다. 원나라에서 진사과에 급제하고 단본당 정자(端本堂 正字: 황태자의 경서 교육 담당) 벼슬을 하였다. 홍건적(紅巾賊)의 난을 피하여 고려에 귀화한 후에는 공민왕이 원나라에 있을 때 종유(從遊)한 인연으로 두터운 대접을 받아 부원군(富原君)에 봉해졌다. 시재(詩才)가 뛰어나 고려 후기의 대표적인 시인으로 꼽히며, 『동문선』 등 역대 시선집에 한시 32수가 거듭 뽑혀 있다. 「병중영병매(病中詠甁梅)」, 「산중우(山中雨)」가 대표작으로 알려져 있다.

의의와 평가

서지와 내용을 확인할 수 없는 부전(不傳) 문집이라 그 의의를 구체적으로 논할 수 없으며, 다만 산견된 기록을 종합하여 문집의 존재를 밝힐 수 있게 되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동문선(東文選)』
『해동문헌총록(海東文獻總錄)』
「원나라 문인 설손(偰遜)의 귀화와 현전 작품」(배규범, 『경희어문학』 34, 경희대학교, 2014)
「『해동문헌총록』 소재 고려 문집 연구─부전(不傳) 문집을 중심으로」(김건곤, 『장서각』 18, 한국학중앙연구원, 2007)
집필자
김건곤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