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순당집 ()

한문학
문헌
고려 후기의 문인, 나흥유의 시가와 산문 등을 수록한 시문집.
목차
정의
고려 후기의 문인, 나흥유의 시가와 산문 등을 수록한 시문집.
내용

『중순당집(中順堂集)』에 관한 기록은 『목은집』과 『용재총화』 권8, 『해동문헌총록』의 「제가시문집(諸家詩文集)」 등에 보이나, 『고려사』 권114 「나흥유열전」에는 관련 기록이 없다. 문집은 그의 생전에 상주(尙州)에서 간행하였으며(『목은시고』 권23, 「나판서장간중순당집어상주…(羅判書將刊中順堂集於尙州…)」), 그의 부탁에 의해 이색(李穡, 1328∼1396)이 「중순당집서(中順堂集序)」(『목은문고』 권9)와 「발나흥유하시권(跋羅興儒賀詩卷)」(『목은문고』 권13)을 썼다. 이색의 서문에 의하면, 나흥유가 공민왕의 지우(知遇)와 관련하여 읊은 연구(聯句)에 당시 사대부들이 축하한 시 90편, 나흥유가 일본에 사신으로 가서 보고 느낀 것을 읊은 시 250편, 일본 승려가 지어준 시 10편을 합하여 문집으로 편찬하였다고 한다. 『용재총화』에는 『중순당집』이 한 질(秩)이라 하였으나, 현전하지 않아 서지와 내용을 알 수가 없다. 그의 시는 『동문선』 권21에 7언절구 「봉사일본(奉使日本)」 1수가 전한다.

나흥유는 본관이 나주(羅州)이고, 금남우수(錦南迂叟)라 자호하였다. 중순당(中順堂)은 그가 거처하던 집으로, 당호(堂號)로써 호를 삼은 것이다. 일찍이 조정에 글을 올려 일본에 사신으로 갔을 때, 일본 사람들이 그를 간첩으로 의심하여 구금하자 “내 나이 150살에 도술(道術)이 있다.”고 속여 풀려났는데, 당시 그의 실제 나이는 60세였다고 한다.

의의와 평가

서지와 내용을 확인할 수 없는 부전(不傳) 문집이라 그 의의를 구체적으로 논할 수 없으며, 다만 산견된 기록을 종합하여 문집의 존재를 밝힐 수 있게 되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동문선(東文選)』
『목은집(牧隱集)』
『용재총화(慵齋叢話)』
『해동문헌총록(海東文獻總錄)』
「『해동문헌총록』 소재 고려 문집 연구─부전(不傳) 문집을 중심으로」(김건곤, 『장서각』 18, 한국학중앙연구원, 2007)
집필자
김건곤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