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형동기 ()

선사문화
개념
바람개비 모양의 청동기로 가야의 중심 고분군인 김해 대성동에서만 출토되는 유물.
이칭
이칭
바람개비모양동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파형동기는 바람개비 모양의 청동기로 가야의 중심 고분군인 김해 대성동에서만 출토되는 유물이다. 대성동 내에서도 최상위 고분에서만 출토되어 가장 위계가 높은 신분 상징물이었음을 알 수 있다. 용도는 방패, 화살통, 활집 등에 매달아 장식하던 것으로 보인다.

정의
바람개비 모양의 청동기로 가야의 중심 고분군인 김해 대성동에서만 출토되는 유물.
개설

파형동기는 한반도에서는 김해 대성동 고분군에서만 출토되어 가야 최상층의 유물로 인식되고 있다. 김해 대성동 2호 목곽묘에서 1점, 13호 목곽묘에서 6점, 23호 목곽묘에서 3점이 출토되었는데, 최근 88호 목곽묘에서 13점이 발견되어 가장 많은 양이 하나의 무덤에서 출토된 사례로 기록되었다.

형태 및 용도

형태는 원추형의 청동판을 가운데에 두고 4개의 날개가 등간격으로 돌려져 있는데, 크기에 따라 대형(12㎝ 내외), 중형(6.0∼6.4㎝), 소형(4.9∼5.2㎝)의 것으로 나뉜다. 날개가 도는 방향도 대성동 13호 목곽묘 출토품은 시계 방향으로 돌지만, 88호 목곽묘 출토품 중에는 반시계 방향으로 도는 것도 있다.

이런 파형동기는 대성동 13호 목곽묘에서 방패로 추정되는 유기물과 함께 출토되어 주목받았는데, 이러한 사례는 일본 오사카[大阪] 고가네츠카[黃金塚], 미네[三重] 이시야마[石山] 고분에서도 확인된다. 이시야마 고분에서는 화살통의 장식으로도 사용된 사례도 보인다.

대성동 88호 목곽묘에서는 칠이 된 유기물 위에서 파형동기가 출토되었는데, 근처에서 활의 부속구로 생각되는 골각기, 금속기 등이 확인되어 활집을 장식하던 것일 가능성이 제기되기도 하였다.

출토 정황

한반도 내부의 정황을 살피면 파형동기는 현재까지 모두 4개가 출토되어 있으며, 대체로 전기 가야의 중심 고분군인 대성동에서만 확인되는 특징을 보인다. 일본에서는 야요이[弥生]시대부터 고훈[古墳]시대에 걸쳐 출토되는데, 바람개비의 날개의 개수가 야요이시대에는 5~7개로 많다가 고훈시대가 되면 4개로 바뀌어 나타난다.

참고문헌

단행본

『동아시아 교역의 가교! 대성동 고분군』(대성동고분박물관, 2013)

논문

심재용, 『金官加耶 古墳 硏究』(부산대학교 박사학위 청구 논문, 2019)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