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형동기 ()

목차
관련 정보
선사문화
개념
삼국시대 가야 영역에서 주로 발견되는 청동 방울.
내용 요약

통형동기는 삼국시대 가야 영역에서 주로 발견되는 청동 방울이다. 원통형의 청동기 안에 소리를 낼 수 있는 구슬이나 금속봉을 넣어 손잡이에 끼울 수 있게 만들어졌다. 가야의 통형동기는 김해 대성동 · 양동리 · 망덕리 유적, 부산 복천동 유적, 창원 석동 유적에서 출토되었으며, 신라의 통형동기는 포항 남성리 유적에서 출토되었다. 4세기대 왜와 교류를 보여주는 유물이다.

목차
정의
삼국시대 가야 영역에서 주로 발견되는 청동 방울.
개설

통형동기는 왜(倭)와 가야가 공유하는 청동기로, 이전에는 왜에서 제작되어 전해진 것으로 이야기되었지만, 최근에는 가야에서 더 많은 숫자가 출토되면서 이곳에서 만들어져 왜로 전해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김해 대성동 고분군에서 26점, 김해 양동리 고분군에서 16점, 부산 복천동 고분군에서 12점, 김해 망덕리 고분군에서 3점, 창원 석동 유적에서 1점이 발견되어 갸야 중에서도 중심 고분군에서 많이 확인되었다.

최근에는 신라의 영역인 포항 남성리 유적에서도 가야 계통의 판갑옷과 함께 2점이 발견되어 주목받고 있다. 이 외에 함안 사도리에서 출토된 것으로 전하는 것은 청동이 아닌 흙으로 빚어서 만든 모방품인 것으로 알려졌다.

통형동기는 4세기부터 5세기에 걸쳐 일본 기나이[畿內]를 중심으로 확인되는데, 하지하카[著墓] 고분과 같은 초기의 고분이 모여 있던 나라[奈良] 분지에서 오사카[大阪]의 가와치[河內]의 대형 고분으로 옮겨간 시점의 유물로 확인되고 있다. 이는 일본 내에서 중심 세력이 가와치의 새로운 신진 세력으로 바뀌면서 이들의 상징물로 통형동기가 제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형태 및 용도

형태는 원통형으로 위쪽에는 손잡이에 끼워넣는 구멍이 있고, 아래쪽이 위쪽보다 더 넓은 형태이다. 몸통은 4개의 긴 투창을 2단 혹은 3단으로 만들었다. 투창 사이의 단에는 돌대를 장식하기도 하였다. 안에는 구슬이나 봉이 들어 있어 원래의 기능은 금속성의 소리를 내는 것과 연관되었음을 알 수 있다.

용도는 창의 자루끝을 장식하는 물미라는 의견, 의식용 지팡이의 끝에 장식하거나 칼 손잡이라는 의견 등이 있다. 크기는 대체로 길이 10~20㎝, 지름 2~3㎝이다.

참고문헌

단행본

『동아시아 교역의 가교! 대성동 고분군』(대성동고분박물관, 2013)

논문

심재용, 『金官加耶 古墳 硏究』(부산대학교 박사학위 청구 논문, 2019)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