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화운동청년연합 ()

목차
사회구조
단체
1983년 9월 민족통일, 부정부패특권정치의 청산, 냉전체제 해소 등을 목표로 하여 1970년대 학생운동을 주도했던 청년들이 중심이 되어 설립한 민중운동단체.
이칭
이칭
민청련
목차
정의
1983년 9월 민족통일, 부정부패특권정치의 청산, 냉전체제 해소 등을 목표로 하여 1970년대 학생운동을 주도했던 청년들이 중심이 되어 설립한 민중운동단체.
내용

전두환 정권은 학생운동에 대한 강한 탄압에도 불구하고 학원가의 반정부시위가 끊이지 않자, 집권 3년차인 1983년에 구속 학생의 석방과 제적학생의 복학조치와 같은 유화적 조치들을 취하게 된다. 그리고 1970년대 학생운동을 이끌었던 이들 주역들이 학원가로 돌아오면서 침체되었던 운동권이 활기를 띠게 되었다. 이즈음 운동권 내부에서는 이전의 민주화운동의 실패가 민중의 참여 부족에서 비롯되었다는 자성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었다. 그 결과 유화조치로 인해 풀려난 청년들의 주도로 민중민주주의 노선을 추종하는 ‘민주화운동청년연합’(이하 민청련)이 결성되었다. 1985년 5월민청련을 비롯한 민주화운동단체들이 ‘광주학살정권퇴진을 위한 국민대회’를 주최하면서 민청련에 대한 정부의 무자비한 탄압이 가해졌다. 그 결과 김근태를 비롯한 여러 관련자들이 구속되어 고문을 받고 투옥되었다. 김근태에 대한 고문사실이 알려지자 민청련과 신민당이 주도하는 ‘고문 및 용공조작 공동대책위원회’(공대위)가 구성되었고, 공대위는 후에 ‘민주헌법쟁취국민운동본부’로 발전하여 1987년의 6·10민주항쟁에 커다란 기여를 하였다. 민청련은 1992년 9월에 ‘한국민주청년단체협의회’로 확대개편 되었다.

참고문헌

『한국현대사 60년』(서중석, 역사비평사, 2007)
「1980년대 민족민주운동과 민주화운동청년연합」(유기홍,『기억과 전망』23, 2010)
「1980년대 학생운동의 민족주의 담론」(이수인,『기억과 전망』18, 2008)
「68운동과 87년 민주화운동의 의미에 대한 비교연구」(김종법,『기억과 전망』16, 2007)
집필자
김태승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