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천 송광사 목조 석가여래삼존상 및 소조 16나한상 일괄 ( )

목차
관련 정보
순천 송광사 목조석가여래삼존상
순천 송광사 목조석가여래삼존상
조각
유물
문화재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사에 봉안되어 있는 목조삼존상과 소조16나한상.
정의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사에 봉안되어 있는 목조삼존상과 소조16나한상.
개설

2008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전라남도 순천 송광사 응진전에 봉안된 석가삼존상과 그 권속인 가섭, 아난, 그리고 16나한, 제석천 등의 일괄 불상이다. 석가삼존상은 목조불상이고 나머지 권속상들은 소조상이다. 송광사 응진당의 16나한상은 원내 고려 1204년(신종 7)에 조성되었으나 정유재란때 소실된 것을 1624년(天啓4)에 재조성하였다는 기록이 전하고 있다고 하는데, 좌측 사자상의 방형대좌에는 “천계사년갑자(天啓四年甲子)” 명이 새겨져 있다. 또한 석가삼존상의 좌협시보살상은 6.25때 도난되어서 1963년도에 다시 조성한 상이다.

내용

본존인 석가삼존상은 여수 흥국사 대웅전의 석가삼존상에서 보듯이 항마촉지인의 본존불좌상과 입상의 양협시보살상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이 지역에서 유행하였던 형식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조각 양식면에서는 차이를 보여서 얼굴이 둥글고 작으며 옷주름은 다소 간략화의 경향이 보인다. 본존상은 허리가 짧고 옷주름도 굵은 선으로 조각되어 보다 둔중한 느낌이 드러나 보인다. 우협시보살입상 역시 흥국사 대웅전 보살입상과 전체적인 모습이 비숫하지만 장신구의 표현이 없어서 단순화된 경향을 보인다.

16나한상은 속에 목심이 있고 위에 흙을 붙인 소조상들로 특히 얼굴 표현이 매우 사실적이고 자연스러워서 고식의 특징이 드러나 보인다. 각 상들은 자세와 얼굴 표정 등에서 각각의 개성을 잘 드러내고 있어서 조각수법이 비교적 훌륭함을 알 수 있다.

의의와 평가

송광사 응진당의 석가삼존상과 16나한상은 일괄 불상들이 비교적 잘 보존되어 있고 조각양식면에서는 17세기 전라도 지역의 양식 특징과 개성을 잘 표현하고 있다.

참고문헌

「17세기 조선왕조의 조각승과 불상」(송은석, 서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조각승 인균파 불상조각의 연구」(손영문, 『강좌미술사』26-Ⅰ, 2006)
집필자
김춘실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