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대학교 박물관 ( )

회화
단체
경기도 수원시 원천동에 있는 아주대학교의 부속 박물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경기도 수원시 원천동에 있는 아주대학교의 부속 박물관.
개설 및 설립목적

선사시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의 유적, 유물에 대한 조사·수집·보관·연구·전시·교육을 통하여 학생들과 지역주민에게 우리 문화에 대한 교육의 기회를 마련하고, 전문가에게 연구 자료를 제공하려는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기능과 역할

문화체험행사, 교양문화강좌 등을 통하여 교내 구성원과 지역사회 주민들에게 소중한 문화유산을 접할 수 있는 열린 공간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대학의 설립 초창기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학교의 발전과정을 사료로 보관하기 위해 대학역사자료를 수집․보관하고 있다. 또한 학술활동의 일환으로서 고고학, 미술사, 과학기술사 등과 관련된 논문을 중심으로 편찬하는 학술지 『과기고고연구(科技考古硏究)』를 1996년부터 매년 발행하여 관련기관 및 학회에 배포하고 있다.

현황

현재 율곡관 건물 5층에 있는 전시실에는 먹통, 대패, 톱, 송곳, 호비칼, 깎낫 등의 건축 및 가공 연장과 누륵틀, 망건틀, 갓틀, 탕건틀, 안경집틀, 짚신제작도구, 반지제작도구와 같은 각종 도구와 관련된 유물들을 전시하고 있으며, 아주대학교병원 1층과 2층에는 옛 생활용구를 이용한 미술품들을 전시하여 병원을 찾는 일반인들에게 문화공간을 마련해 주고 있다.

참고문헌

『아주30년 역사자료 특별전』(아주대학교박물관, 2003)
아주대학교박물관(museum.ajou.ac.kr)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