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음지장보살도 ()

관음지장보살도
관음지장보살도
회화
개념
관음과 지장 두 보살을 한 쌍으로 조합하여 그린 불화. 관음 · 지장보살병립도 · 방광보살도.
이칭
이칭
관음·지장보살병립도, 방광보살도
정의
관음과 지장 두 보살을 한 쌍으로 조합하여 그린 불화. 관음 · 지장보살병립도 · 방광보살도.
연원 및 변천

관음·지장보살도는 중국에서 당대(唐代)부터 조성되었으며, 989년 찬집된『지장보살상영험기(地藏菩薩像靈驗記)』에 근거해 두 보살을 방광보살(放光菩薩)이라 부르기도 하였다. 관음과 지장보살을 함께 조성한 신앙적 배경은 중생에게 가장 친근한 두 보살의 현세와 내세구제 공덕을 배가시키기 위해서였다. 관음신앙과 지장신앙의 소의경전에서는 두 보살 모두 현세와 내세를 구제해 주는 공덕을 설하고 있다. 예를 들어『법화경』보문품에서는 현세의 제난(諸難)과 아울러 관음의 삼악도(三惡道) 구제를,『십륜경(十輪經)』서품에서는 지장보살의 현세 이익적인 여러 공덕 내용을 볼 수 있다. 중국에서 관음·지장보살상은 조각으로도 많이 조성되었는데, 발원문을 보면 두 보살상이 주로 망자추선(亡者追善)을 위해 제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두 보살상과 함께 지옥 및 시왕, 정토왕생 장면을 표현한 불상과 불화도 남아 있다. 관음·지장보살상은 단독으로 조성된 외에 아미타불을 비롯하여 약사불과 미륵불의 협시보살로도 나타났으며, 특히 아미타삼존상에서 대세지보살대신 지장보살이 등장하기도 한다.

내용 및 현황

관음·지장보살도는 중국에서는 원대(元代) 이후 보기 힘든 반면, 우리나라에서는 고려불화 두 점과 조선시대에 조성된 선묘 작품 두 점이 알려져 있다. 또 최근에는 고려불화 한 점이 일본에서 새로 발견되었다.

일본사이후쿠지(西福寺) 소장 고려 「관음·지장보살도」는 백의를 입고 몸을 약간 오른쪽으로 튼 채 두 손을 앞으로 모아 정병을 들고 있는 관음보살과, 두 손으로 보주를 받든 지장보살을 보개(寶蓋) 아래로 나란히 배치하였다. 정면을 향해 함께 서있는 두 보살은, 일본 개인 소장 「아미타삼존도」의 화면 하단 좌우에 서있는 협시보살 도상과 흡사하다. 즉 두 보살의 자세를 비롯하여 지물과 복식이 같으며, 아래로 뻗치거나 위로 구불구불 오그라든 치맛자락 표현 또한 동일함을 볼 수 있다. 일본 미나미호케지(南法華寺) 소장본은 관음과 지장보살을 각각 다른 화폭에 따로 그렸다. 이 작품에 대해서는 원래 세 폭의 아미타삼존도로 제작되었을 것으로 보는 견해가 있다. 두 보살은 모두 두 손을 가슴 앞에 모으고 보개 아래 서있는데, 관음은 가느다란 버들가지와 정병을, 머리에 두건을 쓴 지장보살은 석장과 보주를 잡고 있다. 화면의 좌측 하단 구석에는 “… 郡夫人 …” 명문 흔적이 있어 발원자의 계층을 짐작할 수 있다.

조선 전기 15세기경 제작으로 추정되는 일본 아묘인(阿名院) 소장의 「관음·지장보살도」는 채색 대신 금니로 그린 선묘 불화이다. 두 보살상은 사이후쿠지 소장본과 유사한 형상이지만, 화면 상단에 불좌상 3구가 나타나있는 점이 주목된다. 그리고 조선 전기 금선묘 불화들이 주로 궁궐 여성들의 발원에 의해 조성되었던 점에 비추어, 이 그림 역시 그러한 것으로 간주되고 있다. 관음·지장보살도는 조선후기에도 제작되어 한 점의 선묘 작품이 국내에 전하고 있었으나 현재 소재를 알 수 없다. 두 보살상은 1751년 조성된 선묘화 「선암사 각황전 아미타불도」의 협시보살 관음·지장 모습과 거의 동일하여, 본 작품의 제작 시기와 화사를 추정할 수 있다. 또한 관음의 보관 중앙에 내영인을 하고 서있는 아미타화불을 유난히 크게 표현하여, 이 그림의 신앙적 배경을 시사해준다.

이와 같이 고려와 조선의 관음·지장보살도는 모두 두 보살을 입상으로 나란히 배치하여 ‘관음·지장보살병립도’라 부를 수 있으며, 도상에서 아미타삼존도의 협시보살 관음·지장상과 친연성을 강하게 보이는 것이 특징적이다. 이 점은 아미타신앙과의 관련성을 짐작케 하고, 중국의 관음·지장보살도가 도상과 화면 구성에서 매우 다양한 모습을 보이는 것과 대조가 된다.

한 쌍의 관음·지장보살상은 협시보살 외에도 다른 주제의 불화에 등장하는데, 망자의 천도 의식 장면을 그린 조선후기 감로도 화면의 상단 우측에 나란히 서있는 관음·지장상을 볼 수 있다. 두 보살은 천도재 의식의 텍스트인 시식의문(施食儀文)에서 망자의 업장을 모두 소멸시켜 극락왕생하도록 돕는 역할을 하고 있어, 관음·지장보살상의 내세구제 신앙을 확인할 수 있다.

참고문헌

『지장보살상영험기(地藏菩薩像靈驗記)』
『고려시대의 불화』(기쿠다케 쥰이치·정우택 책임편집, 시공사, 1997)
「조선후기 불화와 의식집에 보이는 내세구제 관음신앙」(황금순, 『미술자료』79, 국립중앙박물관, 2010)
「관음·지장보살상의 내세구제 신앙」(황금순, 『미술사연구』19, 미술사연구회,2005)
「關于四川地區的地藏,觀音竝列像」(肥田路美, 『2005年重慶大足石刻國際學術硏討會論文集』, 文物出版社, 2007)
「岐阜阿名院藏の觀音地藏菩薩倂立圖について」(武田和昭, 『MUSEUM』477, 東京 : 國立博物館, 1990)
관련 미디어 (1)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