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집별행록절요병입사기 ()

법집별행록절요병입사기
법집별행록절요병입사기
불교
문헌
국가유산
고려시대 승려 지눌의 선사상이 집약된 저술로 1486년에 간행된 불교서. 불교교재.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법집별행록절요병입사기(1995)(法集別行錄節要幷入私記(1995))
분류
기록유산/전적류/목판본/사찰본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보물(1995년 07월 19일 지정)
소재지
강원도 원주시 오크밸리2길 58 (지정면, 오크밸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고려시대 승려 지눌의 선사상이 집약된 저술로 1486년에 간행된 불교서. 불교교재.
개설

1995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우리나라 불교 강원의 교과서 중의 하나이다. 당나라 종밀(宗密, 780∼841)이 저술한 『법집별행록』에서 중요한 요점만을 초록한 『법집별행록절요』에 사사로운 견해, 곧 사기(私記)를 붙였으므로 『법집별행록절요병입사기』라고 한 것이다. 줄여서 『절요』라고도 하며, 지눌의 선사상이 집약되어 있다. 마음으로 진리를 비추어 보고 그 진리에 따른 실천을 귀감으로 삼은 것이다.

편찬/발간 경위

지눌이 52세(1209) 때에 집필한 책이다. 강원(講院) 교재로 채택된 탓에 우리나라 고승의 저술로는 드물게 많이 간행되었다. 현재까지 공개된 판본으로는 24종이 있으며 합철본과 주석본도 여럿 전하고 있다. 이 책은 1486년(성종 17)에 광주 무등산의 규봉암에서 간행되었다. 지금까지 공개된 조선시대 간본 중에서 가장 오래된 판본이다.

서지적 사항

1책. 목판본. 재질은 닥종이, 크기는 세로 27.5㎝, 가로 17.8㎝이다. 이 책이 보물로 지정된 이후 동일한 판본들이 더 공개되고 있다. 그 중에서 완전한 판본인 성룡사(星龍寺) 소장본과 대비해보니 이 책은 대걸(大傑)의 발문은 있으나 나월당(蘿月堂)고옹(孤翁)이 지은 서문 2장이 결락되어 있다. 간행목적은 대걸이 발문에서 “왕과 세자가 건강하고 조정이 안정되어 온 나라가 화평해지기를 기원”하기 위한 것임을 밝혀 놓았다. 당시 이 책을 직접 쓴 대시주는 이순기(李順基) 부부였고, 목판을 만든 사람은 선우(善牛) 등, 글자를 새긴 사람은 의경(義敬) 등이 맡았다.

내용

지눌의 선사상이 집약되어 있다. 한 편으로는 존재론과 인식론 및 구원론의 상호함축 관계, 다른 한 편으로는 존재론의 이중적 구조에서 빚어지는 인식론 및 구원론의 이중적 구조를 토대로, 돈오점수에 관한 문제를 해석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많은 부분에 저자의 견해가 수록되어 있어서 지눌사상의 모든 면을 망라하고 포괄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러나 종밀의 『별집별행록』에 대한 「절요」 및 「사기」라는 형식상의 한계와 선의 다양한 주제에 대해 체계적이지 못하다는 점도 지적되고 있다.

참고문헌

『법집별행록병입사기』
『지눌의 선수행 체계 연구』(동국대학교, 2005)
「영광 불갑사 복장본 강원교재 불서 연구」(오용섭, 『서지학보』35, 2010)
「영광 불갑사 팔상전의 복장전적고」(강순애, 『서지학연구』32, 2005)
「법집별행록절요병입사기와 지눌 선사상의 구도」(길희성, 『보조사상』17, 2002)
「돈오점수의 철학적 정초-지눌의 법집별행록병입사기를 토대로-」(시영주, 『철학연구』 79, 2001)
집필자
오용섭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