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아비달마대비바사론』은 『아비달마발지론(阿毘達磨發智論)』을 토대로 하여 설일체유부(說一切有部)의 이론들을 상세하게 설명하고 있다. 후대의 많은 아비달마 논서의 표본이 된다. 줄여서 『대비바사』, 『대비바사론』이라고도 한다. 『발지론』 이후 설일체유부의 사상과 그 발전상을 상세히 서술하고 있으므로 소승불교 연구에 중요하다.
초조대장경은 현종 때 거란의 침입을 물리치려는 염원에서 송나라의 대장경을 저본으로 새기기 시작하였다. 이후 문종, 선종 때는 거란대장경까지 망라하게 된다. 대개 1011년(현종 2)부터 1087년(선종 4) 사이에 완성된 것으로 본다. 그러나 이후에도 함평본과 같은 송나라의 교정본대장경이 입수되자 이들도 새겨서 보충하였다.
이 불전은 앞부분이 부분적으로 손상되어 함차인 ‘惻’과 몇 자가 결락되어 있다. 먹색도 농박의 차이가 있는 등 인쇄상태 역시 좋지 못하다. 권의 끝에는 후대에 만든 것으로 보이는 권축이 있고, 이 축에 두루 마는데 편리하도록 종이를 연미형으로 잘라 놓았다.
초조대장경 목판은 고려 고종 때 몽고의 침입으로 부인사에서 소실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남아있는 인본들은 국내외에 산재되어 있다.
협(脇) 존자, 법구(法救) 등의 논사와 500명의 대아라한이 12년 동안 모은 것이라 한다. 현장이 한역한 200권본 만이 전한다. 이 논의 이름은 불교 교리를 상세히 해석한 논이라는 뜻이며, 일체유부의 기본경전인 『아비달마발지론』을 해석한 것이다.
공개된 초조대장경 인본으로는 현재까지 유일하고 상태 또한 대체로 온전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