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강행실효자도 ()

삼강행실효자도
삼강행실효자도
회화
유물
문화재
조선 전기 효행에 관한 내용을 글과 그림으로 설명한 책.
국가지정문화재
지정기관
문화재청
종목
보물(2011년 06월 21일 지정)
소재지
경상북도 김천시
정의
조선 전기 효행에 관한 내용을 글과 그림으로 설명한 책.
개설

2011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글을 모르는 백성들에게도 효 사상을 전달하기 위해 제작된 『삼강행실효자도』는 우리나라와 중국의 효자들에 대한 고사를 모아 편찬한 것으로 매 편마다 내용을 알기 쉽게 그림을 그려 설명하고 있다. 1434년세종의 명으로 설순(偰循) 등이 제작한 판본으로 추정되고 있다.

내용 및 특징

조선시대 중요한 윤리 강령 중 하나인 부위자강(父爲子綱), 즉 어버이와 자식 사이에 마땅히 해야 할 도리를 글과 그림으로 설명한 책이다. 『삼강행실도』는 1434년 처음 편찬, 간행될 때 충신도, 열녀도, 효자도의 3부로 구성되어 3권 1책으로 만들어졌다. 이 중 『삼강행실효자도』는 우리나라와 중국의 효자 110명에 관한 이야기를 그림으로 그린 것으로, 효자가 곤경에 처한 부모를 위해 효성으로 난관을 극복하는 것이 주된 내용이다. 『삼강행실효자도』의 전개는 해당 인물의 고사를 그림으로 그리고, 행적을 적고 찬시(讚詩)를 적는 방식이며, 그림은 언덕이나 담장을 사용하여 화면을 사선으로 구분한 후, 하나 혹은 두 세 장면을 순서대로 표현하였다.

『삼강행실효자도』는 규장각에 소장된 1434년 세종 대 간행본 이외에도 성종, 선조, 영조 대의 중간본이 있다. 2011년 보물로 지정된 이 『삼강행실효자도』는 효자도가 완벽하게 전해지지는 않지만 지면에 그어진 테두리 선이나 글의 행을 맞추기 위해 그은 세로 선, 글씨의 획, 화면의 상태로 미루어 1434년에 판각된 목판으로 비교적 이른 시기에 인출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세종 대에 간행된 원간본(原刊本)으로 비록 책머리에 「반포교지문(頒布敎旨文)」이 없고 본문에 4인의 행실(行實) 부분이 탈락되어 있으나 비교적 완전하게 남아 있으며, 보존 상태가 양호하여 조선전기 회화 자료가 많지 않은 상황에서 일반 회화사 연구뿐만 아니라 고판화(古版畵) 연구에도 귀중한 자료가 된다.

참고문헌

『한국 회화사 용어집』(이성미, 김정희 공저, 다할미디어, 2003)
「조선시대 효자도-행실도류효자도를 중심으로」(이수경, 『미술사학연구』242〮〮∙243, 한국미술사학회, 2004)
문화재청(www.cha.go.kr)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www.grandculture.net)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