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양 박익 벽화묘 ( )

밀양 박익 벽화묘 정면
밀양 박익 벽화묘 정면
회화
유적
문화재
경상남도 밀양시 청도면에 있는 조선전기 인물풍속도 관련 벽화무덤. 횡구식석실분. 사적.
이칭
이칭
밀양고법리박익벽화묘(密陽古法里朴翊壁畵墓)
국가지정문화재
지정기관
문화재청
종목
사적(2005년 02월 05일 지정)
소재지
경남 밀양시 청도면 고법리 산134번지 내
정의
경상남도 밀양시 청도면에 있는 조선전기 인물풍속도 관련 벽화무덤. 횡구식석실분. 사적.
개설

2005년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박익벽화묘는 문인석(文人石) 1쌍, 갑석(甲石), 호석(護石: 묘를 보호하기 위해 봉분 둘레에 세워진 판석으로 병풍석이라고도 함)을 갖춘 방형분(方形墳)으로 1420년(세종2)에 축조된 것이며, 1999년 9월 태풍으로 무너진 봉분을 보수하는 과정에서 지석(誌石), 유물과 함께 벽화가 발견되었다. 조선시대 것으로는 처음 발굴된 채색 벽화묘로 2005년 2월 5일 사적으로 지정되었으며, 2011년 7월 28일 밀양고법리박익벽화묘에서 밀양박익벽화묘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내용 및 특징

무덤 내부 사방 벽에 그림이 그려져 있는 박익벽화묘는 1420년에 축조된 것으로 석인상, 갑석 호석을 갖춘 방형분이다. 봉분은 가로 605㎝, 세로 482㎝, 높이 230㎝이며, 내부 석실은 깊이 410㎝, 길이 235㎝, 폭 90㎝, 높이 80㎝로 총 면적은 2,642㎡이다.

무덤의 주인인 박익은 고려 말기 문신으로 초명(初名)은 천익(天翊)이며, 본관은 밀양, 자는 태시(太始), 호는 송은(松隱)이다. 고려가 망한 후에는 두문동에 은거하며 나가지 않고 지조를 지켰던 고려말기 8은(8隱) 중 한 사람으로, 후에 좌의정에 추증되었으며, 저서로는 『송은집(松隱集)』이 있다.

이 벽화묘에서 주목되는 것은 수도(隧道: 땅 속으로 난 통로)를 갖추고 있는 방형분이라는 점이다. 조선전기 횡구식 석실(石室) 중 수도가 확인된 것은 아직 없으며, 묘도(墓道)와 구(溝: 도랑)의 역할을 겸하는 것으로 추정되어 양식상의 원류에 관한 자료가 된다. 또한 방형분은 고려후기에서 조선전기까지 일정한 계층에서 유행했던 무덤 형태 중 하나이지만 남쪽으로 수도를 설치한 것과 병풍석(호석)을 경사지게 한 것은 특이한 경우이다. 한편 화강암으로 만든 석실 내부의 벽화는 프레스코화법(벽면에 석회를 바르고 석회가 마르기 전에 그림을 그리는 방법)으로 그려졌으며, 인물, 도구, 말 등 주인공 생전의 생활상을 묘사하고 있어 당시 풍속을 살필 수 있는 귀중한 자료가 된다.

의의와 평가

고려말기 생활을 보여주는 벽화의 풍속 장면은 고려말 조선초 벽화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된다. 또한 벽화에 보이는 인물들의 의복, 머리모양, 색채 등은 복식문화사 뿐만 아니라 조선 초기 풍속, 인물화가 드문 상황에서 한국 회화사에도 귀중한 자료이다.

참고문헌

「밀양박익벽화묘」-고려시대 생활풍속 및 복식연구 자료로 유일한 채색 벽화묘-
(이두애, 『밀양시보』 통권 제177호, 2012)
「조선시대 묘제에 관한 연구」(최호림, 한양대학교 학위논문, 1983)
「한국묘제의 변천」(윤무병, 『논문집』 2권 5호,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975)
문화재청(www.cha.go.kr)
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시스템(people.aks.ac.kr)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