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 도성의 주요시설을 배치하는 원칙의 하나로 궁궐을 중심으로 곡신과 토신에게 제사를 올리는 사직단은 그 우측 즉, 서쪽에 두고, 왕실의 사당에 해당하는 종묘는 그 좌측 즉, 동쪽에 배치하는 것을 가리킨다.
좌묘우사는 관자와 더불어 중국 고대 도시계획의 원칙을 언급하고 있는 중요한 문헌 가운데 하나인 『주례(周禮)』 고공기(考工記)에 나오는 내용이다. 고공기는 『주례』의 한 부분으로 『주례 고공기』, 『주례 동관 고공기』라고도 하는데 각종 관영 수공업 규범과 제조방법을 수록한 문헌이다. 이 책이 간행된 시점에 대해서는 학계의 논란이 있으나 대부분의 학자들은 춘추시대 말기에서 전국시대 초기에 주요한 내용이 편찬된 것으로 보고 있다.
좌묘우사(좌조우사)는 “장인영국 방구리 방삼문(匠人營國 方九里 旁三門) 국중구경구위(國中九經九緯) 경도구궤(經涂九軌) 좌조우사 전조후시(左祖右社 前朝後市) 시조일부(市朝一夫)”라고 하는 문장의 일부로서 조정과 시장을 궁궐의 전후에 배치하라고 규정한 “전조후시”와 함께 국가의 존립을 상징하는 사직단과 종묘가 세워져야 할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언급하는 좌우는 통치자가 궁궐에서 남쪽 방향을 향해 섰을 때의 방향으로 방위로 보면 동쪽과 서쪽을 나타낸다.
좌묘우사는 역대의 도성에서 일관되게 지켜진 중요한 원칙으로 전조후시와 달리 우리나라에서도 엄격하게 준수되었다. 특히 도시 내 주요 시설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고려시대의 개경과 조선시대의 한양에서도 모두 이러한 원칙을 준수했다. 다만 중국 청대의 도성 북경과 비교를 해 보면 중국은 궁성의 바로 앞쪽 좌우에 종묘와 사직단을 배치한 반면 우리나라에서는 궁성에서 일정한 거리를 두고 좌우에 배치하였고 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좌묘우사를 포함한 『주례 고공기』의 도성계획 원리는 동아시아의 고대 도성을 영건할 때 널리 참고 되었던 것으로 우리나라에도 적지 않게 영향을 미쳤다. 현재 『주례 고공기』의 한글 번역본이 간행된 바 있으며 도시계획분야에서 이와 관련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