탁삼재(卓三齋)는 임진왜란 때의 의병장 김유부(金有富, 1549~1621) 모자(母子)의 충효와 병자호란 때 전사한 김기남(金起南)과 김란생(金蘭生) 형제 등의 절개를 기리기 위해 세운 재사(齋舍)이다. 이 사당은 경상남도 밀양군 산내면 봉의리 봉촌마을에 위치하며, 1997년 12월 31일에 경상남도 문화재자료(현, 문화유산자료)로 지정되었다. 김녕김씨 종중에서 관리해오고 있다.
탁삼재는 임진왜란 때 노모(老母)를 업고 적진에 들어가 적의 머리를 벤 김유부와 모친, 그리고 병자호란 때 적들과 싸우다 전사한 그의 아들 김기남 · 김란생 형제 및 부군을 따라 순절한 최씨와 송씨의 절개를 추숭하기 위해 건립된 건물이다.
이곳은 김유부와 아들들의 충효(忠孝) 및 자부(子婦)들의 열(烈), 이 세 가지가 뛰어나다고 하여 나라에서 내려진 재호(齋號)로 유명하다. 탁삼재 옆에는 김유부의 충효각(忠孝閣)이 있는데, 교지 등의 고문서 44점을 비롯하여 나무로 만든 비 1점, 편액 2점, 녹권 1점 등이 1993년 1월 8일에 경상남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탁삼재는 1864년(고종 1)에 그 지역 사림들에 의하여 창건되었다. 『어초와양세삼강록(漁樵窩兩世三綱錄)』에 의하면, '탁삼(卓三)'이라는 재(齋)의 이름은 양대에 걸쳐 한 집안에서 충효렬을 모두 갖추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조정에서 ‘탁이(卓異)한 삼강(三綱)’이란 뜻으로 내렸다고 전한다.
탁삼재는 김유부의 충효각과 같은 담장 내에 자리하고 있지만, 충효각보다 배치에 있어서 중심성을 가진다. 건물은 정면 5칸, 측면 2칸으로 모두 10칸 규모다. 전면 퇴에 마루를 둔 구성으로, 좌우 각 1칸에 온돌방을 시설하고, 나머지 가운데 칸에는 마루를 깔았다. 자연석 기단에 덤벙주초를 놓고 전면의 기둥만 원기둥을 쓰고, 나머지 기둥은 모두 각기둥을 사용하였다.
지붕은 홑처마에 팔작으로 기와를 올렸다. 전면 기둥열 상부에만 초익공을 구성했는데, 익공에 연꽃을 초각하여 단청하고 주두 위에 얹힌 보머리는 봉두(鳳頭)를 초각하여 단청했다.
건물 가운데 칸에는 ‘탁삼재’라는 현판이 걸려 있다. 이 현판은 1862년(철종 13) 규장각 직제학이었던 예조판서 김병필(金柄弼)이 쓴 것으로, 건물의 건립 연대보다 빠르다. 탁삼재에 전하는 것 중에는 건물의 건립 연대를 밝히는데 중요한 유물들이 있는데, 1864년(고종 1) 통훈대부(通訓大夫) 전 집의(前執義) 이승덕(李承德)이 찬한 창건문과 규장각 직각(直閣) 신석희(申錫禧)가 찬한 상량문이 그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