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형 ()

목차
언어·문자
개념
활용하는 단어에서 활용형의 기본이 되는 형태를 가리키는 문법용어. 원형 · 으뜸꼴.
이칭
이칭
원형, 으뜸꼴
목차
정의
활용하는 단어에서 활용형의 기본이 되는 형태를 가리키는 문법용어. 원형 · 으뜸꼴.
내용

현행 국어에서는 대표형태의 어간에 평서형 종결어미 ‘-다’가 붙은 활용형을 기본형으로 설정한다.

1933년 한글 맞춤법 통일안이 제정된 후 그 당시 기본형에 대한 논의는 어간만을 기본형으로 보는 견해와 지금과 같이 어간에 어미 ‘-다’가 결합한 것을 기본형으로 보는 견해, 그리고 선어말어미 ‘-는-’까지 포함하는 견해 등이 있었다.

1960년대에는 지금과 같이 어간에 어미 ‘-다’를 붙인 것을 기본형으로 보았으나, 사동과 피동을 나타내는 ‘-이-, -히-, -리-, -기-, -우-, -구-, -추-’가 결합될 때, 이를 포함한 것을 기본형으로 보는 견해와 포함하지 않은 것을 기본형으로 보는 견해로 나뉘었다.

어간에 종결어미 ‘-다’가 붙는다는 것은 어떠한 선어말어미도 포함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잡다’라는 동사가 ‘잡았다, 잡겠다, 잡는다, 잡더라, 잡으시다’ 등과 같이 활용하는 경우, 이러한 활용형에 포함된 선어말어미 ‘-았-, -겠-, -는-, -더-, -으시-’ 등은 기본형에 포함되지 않는다. 또한, 선어말어미와는 달리 피동접미사나 사동접미사는 기본형에 포함된다. 접사가 결합하여 형성된 파생어는 하나의 단어이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사동접미사 ‘-이-’가 결합한 활용형 ‘먹이겠다’의 경우 그 기본형은 선어말어미 ‘-겠-’을 제외한 ‘먹이다’가 된다. ‘어간’이 단어가 활용할 때 변하지 않는 부분인 것을 생각하면 ‘먹이고, 먹이니, 먹이어서, 먹이므로……’ 등을 통해 어간 ‘먹이-’에 평서형 종결어미 ‘-다’가 붙은 활용형인 ‘먹이다’가 기본형임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음운현상을 통한 기본형 설정(1)」(김정태, 『한국언어문학』46, 2001)
「박승빈 『조선어학』의 ‘문법편’에 관한 고찰」(최웅환, 『문학과 언어』21, 1999)
「조사의 설정과 기본형에 대하여」(이상보, 『국어국문학』34-35, 1967)
「풀이씨의 으뜸꼴(원형)에 대하여」(최현배, 『한글』3-6, 1935)
국립국어원(http://www.korean.go.kr)
국립중앙도서관(http://www.nl.go.kr)
집필자
윤혜영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