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사화 ()

목차
언어·문자
개념
명사 파생 접미사나 명사화 어미를 결합하여 어휘나 문장이 명사의 기능을 하는 형태로 바뀌는 문법 문법현상.
목차
정의
명사 파생 접미사나 명사화 어미를 결합하여 어휘나 문장이 명사의 기능을 하는 형태로 바뀌는 문법 문법현상.
내용

명사화란 명사 기능을 하는 형태로 바뀌는 문법 현상으로, 어휘적 단위에서 이루어지는 ‘형태적 명사화’와 문장에서 실현되는 ‘통사적 명사화’로 나뉜다.

‘형태적 명사화’는 흔히 명사 파생 접미사 ‘-음/-ㅁ’, ‘-기’, ‘-이’, ‘-개’ 등이 어기에 결합하여 나타난다. ‘기다림’, ‘보기’, ‘놀이’, ‘날개’ 등은 각각의 어기 ‘기다리-’, ‘놀-’, ‘보-’, ‘날-’에 파생접미사 ‘-ㅁ’, ‘-기’, ‘-이’, ‘-개’를 결합하여 명사화한 예이다.

일반적으로 ‘명사화’라고 지칭하는 ‘통사적 명사화’는 명사화 어미 ‘-음/-ㅁ’, ‘-기’를 결합하여 문장이 명사의 기능을 하게 만드는 것이다. 이렇게 만들어진 명사화 구문은 외적으로는 명사성을 보이지만, 내적으로는 동사성을 보이는 특성을 가진다.

예를 들어, ‘철수가 책을 빨리 읽었음이 분명하다.’의 문장에서 ‘철수가 책을 빨리 읽었-’은 명사화 어미 ‘-음’을 결합하여 명사화된 것이다. 외적으로는 ‘철수가 책을 빨리 읽었음’ 자리에 다른 명사가 와도 통사적으로 문제가 되지 않으나, 내적으로는 ‘철수가 책을 빨리 읽었음’이 책을 읽는 행위적 의미를 담게 된다.

명사화 어미 ‘-음/-ㅁ’과 ‘-기’는 쓰이는 분포에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대체로 ‘-음/-ㅁ’은 과거와 관련을 가지는 현실성 내지는 상태의 존재에 관련되는 것으로 보고, ‘-기’는 미래와 관련을 가지는 가상적 사건에 관련된 것으로 보는 경향이 있다.

참고문헌

『한국어 통사론』(권재일, 민음사, 2000)
『20세기 우리말의 통어론』(허웅, 샘 문화사, 1999)
『국어 문법의 탐구Ⅰ-국어 통사론의 문제-』(남기심, 태학사, 1996)
『국어학 사전』(한글 학회, 1995)
『표준 국어문법론』(남기심·고영근, 탑출판사, 1993)
「국어학의 이해:명사화」(홍종선, 『새국어생활』14-2, 2004)
「국어 명사화 어미의 분포에 대한 계량적 연구」(김일환·박종원, 『국어학』42, 2003)
집필자
윤혜영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