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정극어 ()

목차
언어·문자
개념
부정 문맥에서만 쓰일 수 있는 부정 자질을 가진 극성어. 부정극성어 · 부정극성.
이칭
이칭
부정극성어, 부정극성
목차
정의
부정 문맥에서만 쓰일 수 있는 부정 자질을 가진 극성어. 부정극성어 · 부정극성.
내용

부정극어는 범언어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으로 언어별로 차이는 있으나, 부정 문맥에서 쓰이는 점은 공통적이다.

부정문은 부정극어를 허가(통제/확인)할 수 있는 부정어를 갖고 있는 문장이다. 부정극어를 허가할 수 있는 부정어는 ‘부인하다, 불행하다, 비인간적, 무정하다, 몰인정하다’ 등과 같은 ‘어휘적 부정어’와 ‘아니-, 못, 말-, 없-, 모르-’ 등과 같은 ‘통사적 부정어’로 나뉜다. 다양한 부정극어가 쓰일 수 있는 부정문은 대체로 통사적 부정어에 의해 부정 문맥을 형성하는 경우이다.

부정극어는 ‘단어형 부정극어’와 ‘구형 부정극어’가 있다. ‘단어형 부정극어’는 ‘전혀, 결코, 도무지, 당최, 그다지, 별로, 절대, 미처, 채, 차마’ 등과 같이 분리되지 않는 한 단어를 뜻한다. ‘구형 부정극어’는 ‘아무도, 누구도, 조금도, 절대로’ 등과 같이 분리 가능한 구성으로, 일반적으로 ‘명사(구)+조사’의 형식의 부정극어를 가리킨다.

부정극어의 예를 들면, ‘학교에는 아무도 없다’에서 부정극어 ‘아무도’는 통사적 부정어 ‘없다’에 의해 허가되어 자연스러운 부정문을 이루지만, ‘학교에는 아무도 있다’가 될 경우는 부정어가 없는 긍정문이 되어 부정극어 ‘아무도’는 쓰일 수 없게 된다.

‘날씨가 여간 춥지 않다’와 같은 문장은 통사적 부정어가 부정극어 ‘여간’과 함께 쓰인 경우이다. 이 부정문은 ‘날씨가 매우 춥다’는 긍정적 의미를 담게 되므로 이와 같은 부정극어를 따로 ‘의사 부정극어’로 설정하기도 한다.

참고문헌

『한국어 통사론』(권재일, 민음사, 2000)
『국어학 사전』(한글 학회, 1995)
「국어의 부정극어 허가자와 허가 양상」(구종남, 『한민족어문학』59, 2011)
「국어의 부정극어에 대한 연구」(시정곤, 『국어국문학』119, 1997)
집필자
윤혜영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