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보문 ()

목차
언어·문자
개념
접속문 중에서 선행절에 양보의 접속어미가 결합하여 선행절로부터 예측된 내용이 후행절에서 부정되는 문장. 양보접속문.
이칭
이칭
양보접속문
목차
정의
접속문 중에서 선행절에 양보의 접속어미가 결합하여 선행절로부터 예측된 내용이 후행절에서 부정되는 문장. 양보접속문.
내용

양보문은 후행절을 강조하기 위해 선행절에 나타나는 사실을 긍정하기는 하나, 후행절에 부정적인 사실을 함축하는 문장이라 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선행절에서 어떠한 일이 벌어지면 후행절에서는 마땅히 그에 대한 결과가 나타나야 하는데, 그 예측 내지는 기대를 뒤집고 뜻밖의 결과가 나오는 문장을 말한다.

예를 들어, ‘비가 와도, 소풍은 간다’라는 문장은 ‘비가 오면 소풍을 가지 않기가 쉽다’는 예측을 뒤집는다. 선행절의 ‘비가 오-’와 접속어미 ‘-아도’가 결합하여 ‘비가 오면 기대되는 내용(=소풍을 가지 않기가 쉽다)’이 후행절의 ‘소풍은 간다’로 부정된 것이다.

‘너의 계획과 포부는 좋으나, 그것은 한 꿈에 불과하다’는 문장에서도 ‘너의 계획과 포부가 좋으면 긍정적인 결과가 올 것이다’는 예측을 뒤집는다. 선행절의 ‘너의 계획과 포부는 좋-’와 접속어미 ‘-으나’가 결합하여 ‘기대되는 내용(=긍정적인 결과가 올 것이다)’이 후행절의 ‘그것은 한 꿈에 불과하다’로 부정된 것이다.

양보문을 만드는 접속어미에 대한 분류는 학자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보편적으로 인정되는 어미는 ‘-아도, -더라도, -은들, -을지라도, -을지언정’ 등이다. 이와는 달리 ‘-으나, -지만’ 등은 학자에 따라, 명제에 따라 견해가 다양하게 나타난다.

참고문헌

『한국어 통사론』(권재일, 민음사, 2000)
『20세기 우리말의 통어론』(허웅, 샘 문화사, 1999)
『국어학 사전』(한글 학회, 1995)
『표준 국어문법론』(남기심·고영근, 탑출판사, 1993)
「한국어 연결어미 의미 기술의 메타언어 연구-양보, 설명, 발견‘의 연결어미를 중심으로-」(박재연, 『국어학』62, 2011)
「대립과 양보 접속어미의 범주화」(신지연, 『어문학』84, 2004)
집필자
윤혜영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