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해 ()

조선시대사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홍석주의 논설 · 기 · 발 · 가장 등을 수록한 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홍석주의 논설 · 기 · 발 · 가장 등을 수록한 문집.
개설

홍석주(洪奭周, 1774∼1842)가 작성한 글들을 베껴 놓은 초고(草稿)로, 향후 문집의 편찬·간행에 대비해서 만든 자료집으로 추정된다. 글의 해석 방향을 판단한 내용이 실려 있고 첨삭(添削)이 가해진 곳도 있는 것으로 볼 때, 홍석주가 직접 자신의 글을 정리한 것으로 보인다.

편찬/발간 경위

본서에 수록된 글들의 작성 시기를 고려할 때, 제1책에서 15책까지는 저자가 1787년부터 1838년 사이에 수시로 필사해서 정리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제16∼17책은 15책까지의 정리를 마친 1838년 이후부터 1841년경 사이에 그때까지 지은 가장(家狀)·행장(行狀)과 묘도문자(墓道文字)들을 따로 모아서 베껴 놓은 것으로 추정된다.

서지적 사항

불분권(不分卷) 17책. 필사본. 책 크기는 세로23.5㎝ 가로 22.5㎝이다.

내용

저자가 본서를 편집할 때 기본적으로 저작 시기에 따라 저술을 정리했기 때문에 일반적인 문집에서 보이는 문체별 분류는 본서에 잘 드러나지 않는다. 하지만 대체적으로 볼 때, 제1∼6책에는 역사와 경학(經學)에 관한 단독 저술과 논설, 독서기(讀書記) 등의 비중이 높은 반면, 7∼15책에는 문학이론과 서간, 서(序)·발(跋)·기(記) 등의 문학 저술이 많이 실려 있다. 그리고 16∼17책에는 가장·행장과 묘표(墓表)·묘갈(墓碣)·묘지(墓誌)·신도비문(神道碑文) 등의 묘도문자들이 수록되어 있다.

한편, 제3책과 4책은 수록된 글의 작성 시기를 볼 때 순서가 바뀐 것으로 생각된다. 또, 제8책과 14∼15책에는 ‘추록(追錄)’이라고 표시된 글들이 있는데, 이는 작성 당시 바로 기록한 것이 아니라, 시간이 지난 후에 발견하여 추가로 기록했음을 의미한다. 이런 모습들은 본서의 작성 연도 순 배열이 완전하지 못함을 보여준다.

본서에 실린 주요 저술로는 「대역상전(大易象傳)」·「휘사정편소목록술(彙史正編小目錄述)」·「명사관견(明史管見)」·「속명사관견(續明史管見)」·「독역잡기(讀易雜記)」·「휘사소찬(彙史小贊)」 등이 있다. 모두 역사와 역학(易學)에 관한 것이어서 저자가 이 분야의 연구에 주력했음을 알 수 있다.

이밖에 「원시(原詩)」는 율시(律詩)보다는 고체(古體)를 존숭했던 홍석주의 시관(詩觀)이 피력되어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또, 『관자(管子)』·『순자(荀子)』·『안자(晏子)』·『열자(列子)』 등 32종에 달하는 제자서(諸子書)에 대한 독서기는 홍석주의 독서 범위가 매우 넓었음을 잘 보여준다.

의의와 평가

18∼19세기를 대표하는 학자의 한 사람인 홍석주의 학문과 사상을 담고 있는 저술로, 저자 개인뿐만 아니라 19세기 사상계의 동향을 파악하는 데 매우 중요한 자료이다. 특히 저자 자신이 직접 정리한 초고본이라는 점에서 홍석주의 사상적 경향을 가장 생생하게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규장각에 소장된 홍석주의 필사본 문집」(김문식, 『규장각』46, 2015)
집필자
강문식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