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강서원 ()

유적
경상남도 의령군 용덕면에 있었던 조선후기 강수남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한 서원.
정의
경상남도 의령군 용덕면에 있었던 조선후기 강수남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한 서원.
개설

1820년(순조 20)에 임진왜란 당시 전사한 충렬공(忠烈公) 강수남(姜壽男, 1552∼1592)을 제향하기 위해 건립한 서원이다. 처음에는 어강사(漁江祠)로 창건하였다가 어강서원(漁江書院)으로 승원하였다. 1868년(고종 5)에 서원 철폐령으로 훼철된 후 복설되지 못하였다.

역사적 변천

1820년에 강수남을 제향하기 위하여 진양강씨 후손들이 옛 어화정곡(漁火井谷)에 건립한 문중서원이다. 서원이 훼철된 후 서원에 보관하던 문헌들은 1894년의 화재로 소실되었다고 전한다. 어강서원 구허(舊墟)에 1870년(고종 7)에 우모재(寓慕齋)를 건립하여 강수남의 고조할아버지 청풍군수(淸風郡守) 강혜(姜徯, 1424∼1485)와 증조할아버지 강효정(姜孝貞), 종숙 모암(慕庵) 강우(姜瑀, 1495∼?)를 향사하고, 1992년에 중건하였다. 강수남은 그의 10세손 강봉호(姜鳳浩)가 1909년 의령군 용덕면 소상리 돈대산에 사월정(沙月亭)을 중건하여 매년 3월 15일에 제향하고 있다.

내용

강수남은 자가 인수(仁叟), 호는 사월정(沙月亭)이며, 본관은 진양(晋陽)이다. 진사 강서(姜瑞)의 아들인데, 강서는 남명 조식의 문인이었으며, 효행으로 정문(旌門)을 받았다. 강수남 역시 남명의 문인이 되었으며, 1580년(선조 13) 별시 문과에 급제하여 전적(典籍)을 거쳐 병조정랑(兵曹正郞)에 올랐다.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경기도 관찰사 심대(沈岱)의 종사관으로 참전하여 삭녕 전투에서 가노(家奴) 검산(檢山)과 함께 전사하였다. 선조는 특명으로 승정원 도승지를 추증하는 한편, 정려(旌閭)를 내리고 종 검산을 복호(復戶)하였다. 1709년(숙종 35) 중신들의 주청으로 자헌대부, 이조판서의 증직과 충렬(忠烈)의 시호가 내려졌다. 1712년(숙종 38)에도 중신들의 주청에 의해 경기감사 심대와 똑같은 예우로서 「일체정려(一體旌閭)」 네 글자의 어필(御筆)을 하사하였다. 이어 1791년(정조 15)에는 다시 삭주(현 경기도 연천)의 표절사(表節祠), 1820년에는 의령의 어강서원에 배향하였다.

의의와 평가

서원 훼철 이후 재실과 누정의 형태로 분화하여 추모하는 사례를 확인할 수 있다.

참고문헌

『교남지(嶠南誌)』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경남의 서원』(구산우 외, 선인, 2008)
『일반동산문화재 다량소장처 실태조사 보고서』(문화재청·의령군,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07)
『의령군지』(의령군지편찬위원회, 2003)
『내 고장 전통』(의령군, 1985)
「강수남」(이정일, 『한국의 역대인물』, 한국학중앙연구원, 2008)
「도내각읍서원훼철사괄성책초」(이우성 편, 『서벽외사해외수일본총서』15, 아세아문화사, 1990)
집필자
이우진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