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자은현화사 ()

현화사 칠층석탑
현화사 칠층석탑
불교
유적
북한 황해북도 장풍군에 있었던 고려전기 왕족 안종과 헌정왕후의 명복을 빌기위해 창건한 사찰.
이칭
이칭
현화사(玄化寺)
정의
북한 황해북도 장풍군에 있었던 고려전기 왕족 안종과 헌정왕후의 명복을 빌기위해 창건한 사찰.
개설

고려의 현종(顯宗)이 부모의 명복을 빌고자 창건한 현화사(玄化寺)의 본래 이름은 대자은현화사(大慈恩玄化寺)였다. 현화사 앞에 '대자은'을 붙여 자은종(慈恩宗) 소속의 사찰이었음을 명시하였다.

역사적 변천

현종(재위 1009-1031)이 세상을 떠난 아버지 안종(安宗)과 어머니 헌정왕후(獻貞王后)의 명복을 빌기 위하여 창건한 사찰이다. 1021년(현종 12) 절이 완공되었을 때 현종은 비(碑)의 액자에 직접 ‘영취산대자은현화사지비명(靈鷲山大慈恩玄化寺之碑銘)’이라고 썼다. '대자은'은 단순한 수식어가 아니라 현화사가 자은종 소속의 사찰이었음을 가리키는 것이다. 고려시대에는 신라의 법상유식학(法相唯識學)을 계승한 종파를 유가업(瑜伽業) 또는 자은종이라고 하였다. 이 사찰은 14세기 고려 말에 폐사된 것으로 추정된다.

내용

현화사의 절터에는 사찰의 내력을 기록한 비석을 비롯하여 7층 석탑, 석등, 당간지주 등이 있었다. 현재 현화사비는 북한 국보급 문화재 제151호이고, 7층 석탑은 북한 국보급 문화재 제139호이다. 모두 개성시에 있는 고려역사박물관으로 옮겨 보관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고려시대에 현종이 부모의 명복을 빌고자 창건한 자은종의 중심사찰이다. 고려중기 자은종의 융성을 주도하였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송도의 고적』(고유섭, 열화당, 1979)
「고려 중기 현화사의 창건과 법상종의 융성」(최병헌, 『한우근박사 정년기념사학논총』, 1981)
집필자
윤기엽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