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천제 ()

목차
관련 정보
불교
개념
아무리 수행해도 절대 깨달을 수 없는 자 또는 중생 제도를 위하여 일부러 열반의 깨달음에 들지 아니한 보살을 가리키는 불교용어. 일천저가 · 일전가 · 일천제가 · 천제.
이칭
이칭
일천저가(一闡底迦), 일전가(一顚迦), 일천제가(一闡提柯), 천제(闡提)
목차
정의
아무리 수행해도 절대 깨달을 수 없는 자 또는 중생 제도를 위하여 일부러 열반의 깨달음에 들지 아니한 보살을 가리키는 불교용어. 일천저가 · 일전가 · 일천제가 · 천제.
개설

일천제는 범어 icchantika, 팔리어 ecchantika의 음역어이다. 일천저가(一闡底迦) · 일전가(一顚迦) · 일천제가(一闡提柯) · 천제(闡提)라고도 음역하고, 단선근(斷善根) · 불신구족(不信具足) · 극욕(極欲) · 대욕(大欲) · 무종성(無種性)이라고 의역한다.

icchantika를 통속적인 어원 해석으로 풀이하면 ‘욕구하는 자’를 뜻하기 때문에 그 유래를 고대 인도의 쾌락주의자에서 찾을 수도 있다. 불교에서는 불법(佛法)을 믿지 않고 깨달음을 구하는 의지가 없어 성불의 소질과 인연이 결여된 자들을 가리킨다. 즉 일천제는 주1이 끊겨서 성불할 가능성이 없는 자, 아무리 수행해도 절대 깨달을 수 없는 자를 말한다.

내용

일천제의 교설(敎說)은 주로 대승불교권에서 형성되어 논의된 개념이다. 『대반열반경』 제5권에 일천제는 '모든 선근을 끊어 없애고 본심이 어떤 선법과도 연결되지 않으며, 조금도 선한 생각을 일으키지 않는 자'라고 하면서 모든 중생에게 불성이 있지만 이들은 제외한다고 하였다.

그러나 『입능가경』 제1권은 두 종류의 일천제를 언급하고 있다. 첫째는 모든 선근을 불태운 일천제이고, 둘째는 중생을 불쌍히 여기는 일천제이다. 전자는 보살장(菩薩藏)을 비방하는 자들로 모든 선근을 끊어 성불이 불가능한 단선일천제(斷善一闡提)이고, 후자는 중생의 성불을 위해 자신의 성불을 미루어 성불하지 않는 대비일천제(大悲一闡提)이다. 즉 보살이 중생 구제를 위해 성불을 미루는 경우다.

단선일천제의 성불 가능성 문제는 중국와 일본에서 불성론의 큰 이슈가 되었다. 단선일천제는 어떤 경우에도 결코 성불할 수 없다고 주장한 법상종에 반대하여 일체성불설을 주장하는 천태종화엄종 및 기타 대승종파는 단선일천제도 수승한 인연을 통해 언젠가는 성불할 수 있다고 보았다. 그러나 역설적으로 대비일천제의 성불은 불가능한 것으로 여겨지는데, 그 이유는 보살이 세운 서원대로 중생이 모두 성불하기 전에는 자신의 성불을 미루기에 중생이 끝없이 윤회하는 한 성불할 수 없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대반열반경(大般涅槃經)』
『입능가경(入棱伽經)』
『보성론(寶性論)』
『십주심론(十住心論)』
주석
주1

좋은 과보를 낳게 하는 착한 일. 우리말샘

집필자
심준보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