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복 ()

의생활
의복
개항기, 문관의 복식 제도에서 정한 평상복.
이칭
이칭
통상복, 통상예복
의복
재질
전통 직물(전통식 통상복)|모직물(서양식 상복)
제작 시기
1895년(고종 32) 이후
관련 의례
내외관이 사진할 때|집무 볼 때
소장처
국립고궁박물관|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내용 요약

상복은 개항기 문관의 복식 제도에서 정한 평상복이다. 1895년 8월 10일 칙령 제1호 「조신 이하 복장식」에서 대례복, 소례복 다음으로 통상복색 명칭이 처음 등장하였다. 칙령에서 통상복색은 주의, 답호, 사대를 갖춘 것으로, 내외관이 사진할 때에 착용하도록 하였다. 대한제국기인 1900년 4월 17일 칙령 제14호 「문관복장규칙」에서는 대례복, 소례복 다음에 상복이라는 명칭으로 정하였다. 상복은 서양 남성의 통상모, 통상의, 조끼, 바지를 갖춘 것으로, 문관이 사진할 때, 연거할 때, 집무를 볼 때 착용하도록 하였다.

정의
개항기, 문관의 복식 제도에서 정한 평상복.
연원

상복(常服)은 1895년(고종 32) 8월 10일 칙령 1호 「조신이하복장식(朝臣以下服章式)」에서 전통식을 그대로 쓰는 조복(朝服)과 제복(制服)을 제외하고 대례복(大禮服), 소례복(小禮服)을 재정리하면서 통상복색(通常服色)이라는 명칭으로 처음 정해졌다. 이 시기에는 흑단령(黑團領)으로 정한 대례복, 소례복과 함께 통상복도 전통 복식 형태였다. 그 구성은 주5, 주6, 사대(絲帶)로 주1. 이후 1900년(광무 4) 4월 17일 칙령 제14호 「문관복장규칙(文官服裝規則)」부터 서구식 대례복, 소례복과 함께 상복이라는 명칭을 사용하게 되었고, 이때부터는 양복형으로 바뀌어 서양의 통상모(通常帽), 통상의(通常衣), 조끼, 바지를 착용하도록 주3.

형태 및 용도

1895년 「조신이하복장식」에서 전통식 통상복색으로 정해진 복식은 주의, 답호, 사대였다. 주의는 두루마기를 의미한다. 두루마기는 트인 곳이 없이 두루 막힌 형태의 겉옷이었다. 주의 위에는 깃과 소매가 없이 좌우의 길을 앞중심선에서 마주보며 여미는 답호를 착용하였고, 허리에는 사대를 매었다. 통상복색은 내외관(內外官)이 업무에 나아갈 때 착용하였고, 왕을 알현할 때는 착용할 수 없었다.

1898년(광무 2) 6월 18일에 외국에 파견된 외교관 영사관(領事官) 이하 관원의 복장식(服裝式)에서 주10은 대례복, 소례복 다음의 복식으로 지정되어 각종 모양의 의(衣), 관(冠), 대(帶), 리(履)로 구성된다고 주2. 이와 같이 통상복은 대한제국 초기까지는 전통 복식 형태였다. 외교관들의 경우는 공관에 있을 때, 일상적인 교제를 할 때 편리하게 착용하라고 하였다.

1900년 4월 17일의 「문관복장규칙」에서는 서구식 형태의 상복을 정하였다. 그 구성은 서양에서 착용하는 통상모, 통상의, 조끼, 바지로, 남성의 일반적인 슈트 형태였다. 상복도 통상복색과 마찬가지로 업무에 나아갈 때 착용하도록 하였고, 이에 더하여 편안히 집에 있을 때, 집무할 때 착용하는 것으로 정하였다.

변천 및 현황

개항기(開港期) 이후 통상복 혹은 상복을 정하기 전인 전통 주8에 상복은 단령(團領)으로, 왕을 알현할 때와 집무를 볼 때 모두 착용하였다. 당시 단령의 색은 흑색, 홍색 등으로 다양했으나 1884년(고종 21) 「갑신의제개혁(甲申衣制改革)」을 통해 흑단령으로 통일되었다. 1895년 「을미의제개혁(乙未衣制改革)」부터 통상복이라는 명칭의 복식은 단령이 아니라 주의에 답호를 입고 사대를 매는 복식으로 바뀌었다. 그 용도 역시 주11 시에는 착용하지 못하고 일상 집무용으로 축소되었다. 1900년 이후 「문관복장규칙」에서 상복은 서양 남성이 평복(平服)으로 착용하는 모자와 슈트로 정해졌다. 1908년(융희 2)에 간행된 『법규류편(法規類編)』에 실린 개정된 「문관복장규칙」에는 문관의 복장을 대례복, 소례복, 상복으로 나누고 이 상복의 구성을 정리하면서 평상복(平常服)이라는 용어를 주4. 그 구성은 서구제의 평모(平帽), 서구제의 뒷자락이 짧은 웃옷[短後衣], 조끼, 바지였다. 이를 통해 개항기 이후 통상복, 상복, 평상복이 같은 개념을 가진 용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의의 및 평가

전통 시대의 상복은 왕을 알현할 때와 집무를 볼 때 착용하였던 관복이었다. 이에 비해 개항기 이후의 통상복 혹은 상복은 왕이나 황제를 알현할 때는 착용할 수 없었고 일상적인 집무복이나 주7으로 착용하도록 정해졌다. 또한 전통식 통상복인 주의, 답호를 먼저 적용하는 과도기적인 단계를 거친 다음에 서양 남성 슈트를 채택하는 과정을 통해 양복을 점진적으로 수용하는 모습을 보였다.

참고문헌

원전

『(구한국) 관보(官報)』
『고종실록(高宗實錄)』
『법규류편(法規類編)』

단행본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구한국 관보 복식관련 자료집』(민속원, 2011)
이경미, 『제복의 탄생: 대한제국 서구식 대례복의 성립과 변천』(민속원, 2012)

논문

박가영, 「조선 후기 전복의 용도와 착용 방식」(『한국복식』 32,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2014)
이경미, 『19세기 개항이후 한·일 복식제도 비교』(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9)
이경미, 「개항기 전통식 소례복 연구」(『복식』 64-4, (사)한국복식학회, 2014)
이경미, 「대한제국기 서구식 소례복 연구」(『한복문화』 21-3, (사)한복문화학회, 2018)
이은주, 「조선시대 백관의 시복과 상복 제도 변천」(『복식』 55-6, (사)한국복식학회, 2005)
이현아, 『1884년 「갑신의제개혁」 연구』(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주석
주1

『(구한국)관보』 호외, 개국 504(1895)년 8월 11일

주2

『(구한국)관보』 제981호 광무2(1898)년 6월 21일

주3

『(구한국)관보』 호외 광무4(1900)년 4월 19일

주4

『법규류편(法規類編)』(1908)

주5

우리나라 고유의 웃옷. 주로 외출할 때 입는다. 옷자락이 무릎까지 내려오며, 소매ㆍ무ㆍ섶ㆍ깃 따위로 이루어져 있다. 우리말샘

주6

조선 시대에 입던, 밑이 길고 소매가 없는 조끼형의 관복. 또는 그런 군복. 우리말샘

주7

왕이나 문무 관리들이 입던 평상복. 우리말샘

주8

현대 이전의 시기. 우리말샘

주9

현대 이전의 시기. 우리말샘

주10

평상시에 입는 옷. 우리말샘

주11

임금께 나아가 뵘.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