쥐포 (쥐)

목차
관련 정보
식생활
음식·약
쥐치를 포를 떠서 조미하여 건조한 음식.
이칭
이칭
쥐치포
음식·약/음식
재료
쥐치|설탕|소금|조미료
관련 장소
경상남도 사천시
내용 요약

쥐포는 쥐치를 포를 떠서 조미하여 건조한 음식이다. 우리나라 남해안을 중심으로 연근해에서 잡히는 쥐칫과 생선인 쥐치, 말쥐치, 그물코쥐치 등을 조미해서 만든 식품이다. 원래 쥐치는 껍질이 두껍고 맛도 없어서 그물에 걸리면 어부들이 다시 바다로 던져 버리던 생선이었으나, 1970년대 후반 오징어 값이 폭등하자 대용품으로 조미 쥐치포를 생산·판매하게 되었다. 남해안의 경상남도 사천시는 쥐치포 최대 산지로 부상하였다.

정의
쥐치를 포를 떠서 조미하여 건조한 음식.
연원 및 변천

쥐치는 『전어지(佃漁志)』에 주1로 기록되어 있고, 『우해이어보(牛海異魚譜)』『난호어목지(蘭湖漁牧志)』에는 서어(鼠漁)로 기록되어 있다. 흔히 쥐고기라 많이 불리며 전라남도에서는 쥐치어, 포항에서는 가치, 제주도에서는 객주리로도 불린다고 한다. 우리가 흔히 ‘쥐포’라고 부르는 것은 사실 ‘쥐치포’를 가리키는 것으로, 우리나라 남해안을 중심으로 연근해에서 잡히는 쥐칫과 생선인 쥐치, 주2, 주3 등을 조미해서 만든 식품이다. 쥐치는 껍질이 두껍고 맛이 없어서 그물에 걸리면 어부들이 다시 바다로 던져 버리던 생선이었으나, 1970년대 후반 오징어 값이 폭등하자 대용품으로 조미 쥐치포를 생산 · 판매하게 되었다. 주9 경상남도 사천시의 삼천포는 쥐치포 최대 산지로 부상하였다.

조리법

쥐치의 조리법은 다음과 같다. 쥐치의 배를 갈라 내장을 제거하고 온수에서 15분 정도 주4 다음 10℃ 이하의 맑은 물에 냉각시킨 후 탈수용 바구니에 잘 정돈하여 시원한 곳에서 적당히 탈수한다. 설탕, 소금, 조미료, 주6, 솔빈산, 주5 등을 혼합한 조미액에 12시간 정도 침지한 다음 자연 주7 및 열풍 주8를 시킨다.

쥐치를 이용한 대표적인 요리인 쥐치포볶음은 마름모 모양으로 자른 쥐치포를 식용유를 두른 팬에 볶은 후 고추장, 간장, 물엿, 설탕 끓인 것을 넣어 섞은 후 참기름, 통깨를 뿌린다.

관련 풍속

그동안 국내에서 많이 잡히던 쥐치가 급속히 줄어들자 수입자들은 베트남에서 쥐치포를 대량 수입하게 되었다. 근래에는 베트남산 쥐포가 쥐포 시장의 대부분을 점령하고 있는 실정이나 국내 최고 품질의 쥐포는 사천시의 삼천포 쥐포이다.

참고문헌

원전

『전어지(佃漁志)
『우해이어보(牛海異魚譜)』
『난호어목지(蘭湖漁牧志)』

인터넷 자료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www.grandculture.net)
한국식품안전협회(www.safetyfood.or.kr)
지역N문화(ncms.nculture.org)
나무위키(namu.wiki)
위키백과(ko.wikipedia.org)
주석
주1

쥐칫과의 바닷물고기. 몸의 길이는 25cm 정도이고 마름모 모양이며, 옆으로 납작하다. 푸른 갈색 또는 분홍색이고 옆구리에 어두운 갈색 무늬가 흩어져 있다. 눈 위에 한 개의 가시가 있고 배지느러미가 없다. 한국, 일본, 대만 등지에 분포한다. 우리말샘

주2

쥐칫과의 바닷물고기. 몸의 길이는 24cm 정도로 푸른빛을 띤 갈색이고 긴 타원형으로 옆으로 편평하다. 제1등지느러미는 한 개의 가시로 되어 있으며 식용한다. 쥐치보다 깊은 바다에 사는데 한국 중남부 연해 및 일본 근해에 분포한다. 우리말샘

주3

쥐칫과의 바닷물고기. 몸의 길이는 4~6cm이고 옆으로 납작한 원형에 가까우며, 누런 갈색 또는 녹색을 띤 회색 바탕에 검은 갈색의 다각형인 그물코 모양의 무늬가 있다. 관상용으로 기른다. 한국, 일본 남부에 분포한다. 우리말샘

주4

껍질이나 가죽을 벗기다. 우리말샘

주5

하이드록시트라이카복실산의 하나. 무색무취의 고체로, 물과 알코올에 잘 녹고 신맛이 있다. 레몬이나 밀감 따위의 과실 속에 들어 있으며, 청량음료, 의약품 따위에 첨가제로 쓰인다. 화학식은 C3H4OH(COOH)3. 우리말샘

주6

카복시기가 두 개 들어 있는 이염기산의 하나. 무색의 고체로, 호박(琥珀)이나 갈탄을 건류하거나 주정 발효를 하여 얻는다. 신맛이 나고, 물이나 알코올에 조금 녹는다. 화학식은 HOOCCH2CH2COOH. 우리말샘

주7

인위적인 힘을 가하지 않고 자연 상태에서 말리는 일. 우리말샘

주8

열풍으로 물체를 건조하는 방법. 분무 건조 따위에 쓰인다. 우리말샘

주9

남쪽에 있는 해안.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