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남포동 씨앗호떡 ( 씨앗떡)

식생활
음식·약
밀가루 반죽을 식용유에 튀겨낸 후, 가운데를 잘라 각종 견과류를 듬뿍 채워 넣은 부산의 향토음식.
이칭
약칭
씨앗호떡
음식·약/음식
재료
밀가루|흑설탕|견과류
관련 장소
부산광역시 남포동 일대
내용 요약

부산 남포동 씨앗호떡은 밀가루 반죽을 식용유에 튀겨낸 후, 가운데를 잘라 각종 견과류를 듬뿍 채워 넣은 부산의 향토음식이다. 호떡은 대표적인 길거리 간식이자 서민 음식의 상징이다. 전국적으로 다양한 호떡이 많지만, 부산에서는 호떡에 해바라기씨와 각종 견과류, 건포도 등을 넣어 종이컵에 담아 주기 때문에 특히 더 유명하다.

정의
밀가루 반죽을 식용유에 튀겨낸 후, 가운데를 잘라 각종 견과류를 듬뿍 채워 넣은 부산의 향토음식.
연원 및 변천

호떡이 정확하게 언제 우리나라로 들어왔는지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1882년(고종 19) 임오군란(壬午軍亂) 수습 때 체결된 ‘조청상민수륙무역장정(朝淸商民水陸貿易章程)’이라는 불평등조약을 통해 청나라 화교 상인들과 함께 들어온 것이 아닐까 추측하고 있다. 값이 싸고 쉽게 상하지 않아 허기를 채우기에 괜찮은 음식이었기 때문에 일제강점기 종로에서는 중국인 인력거꾼들이 주로 호떡을 사 먹었다. 호떡은 그 안에 꿀이나 조청, 설탕 등을 넣어 달짝지근한 맛을 내는 방식으로 한국인의 입맛에 맞게 변형되었다. 호떡은 한국전쟁 중에도 많은 기간 많은 사람들의 사랑을 받았는데, 이때 부산으로 모여든 피난민들은 다양한 종류의 곡물 씨앗을 넣고 호떡을 만들어 먹었다. 휴전 이전, 미국에서 우리나라에 대대적인 식량 원조를 밀가루로 해 주었고, 이 밀가루로 만든 호떡은 대중화되었다.

기름지고 쫀득한 맛의 부산 남포동 씨앗호떡은 1980년대 남포동 거리에서 처음 시작되었다고 한다. 화덕에 구울 필요 없이 밀가루 반죽을 식용유 두른 호떡 판에 눌러 튀겨낸 후, 가운데를 잘라 각종 견과류를 듬뿍 채워내면 부산 남포동 씨앗호떡이 완성된다. 오도독 씹히는 특유의 식감과 고소한 맛이 입소문을 타고 해운대와 같은 관광 지구로 점차 퍼져나가, 이제는 부산을 방문하면 꼭 먹어봐야 할 부산의 향토음식이 되었다.

조리법

호떡은 강력분으로 만든 반죽을 기름에 튀겨 안에 계피 가루와 흑설탕을 주로 넣는데, 씨앗호떡은 땅콩, 해바라기씨, 호박씨 같은 견과류를 잘게 부숴 넣어 녹은 설탕물이 흐르지 않게 만든다. 과거에는 판에 기름층을 얇게 한 뒤 누르며 기름에 지지듯이 굽는 방식이었으나, 현재는 기름양을 넉넉히 하여 튀겨낸다.

관련 풍속

호떡은 연중 어느 때나 먹어볼 수 있는 국민 간식으로, 요즘은 대기업 식품 브랜드에서 누르개 도구를 포함한 호떡 믹스를 출시해 집에서도 손쉽게 만들어 먹을 수 있다. 또한 대형 프랜차이즈 제과점에서도 부산 남포동 씨앗호떡을 판매하고 있다. 호빵으로 유명한 제빵업체에서도 부산 남포동 씨앗호떡을 응용한 호빵 제품을 판매하고 있다. 그러나 겨울철 부산 앞바다에서 먹는 부산 남포동 씨앗호떡은 아직도 특별한 지역 별미로 꼽힌다.

참고문헌

인터넷 자료

지역N문화, 서역의 음식에서 부산의 명물로, 부산 씨앗호떡(https://ncms.nculture.org/food/story/5375)
나무위키, 호떡(https://namu.wiki/w/%ED%98%B8%EB%96%A1)
문화재청 월간문화재사랑, 실크로드를 통해 전해진 서역의 음식(www.cha.go.kr)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