쥐치

목차
관련 정보
쥐치
쥐치
동물
생물
쥐치과에 속하는 바닷물고기.
목차
정의
쥐치과에 속하는 바닷물고기.
내용

학명은 Stephanolepis cirrhifer TEMMINCK et SCHLEGEI.이다.

몸은 마름모꼴에 가깝고 옆으로 납작[側扁]하다. 주둥이는 뾰족하게 튀어나오고 꼬리지느러미는 짧다. 수놈은 개체에 따라 등지느러미 제2연조(軟條)가 연장되어 실 모양을 지니고 있어 이것으로 암수를 구별한다.

제1등지느러미는 눈틀[眼窩] 바로 뒤의 등 쪽에 있으며, 전체가 조잡하고 후연(後緣) 양쪽에 각각 전하방(前下方)으로 향한 한줄의 가시가 있다. 몸빛은 청색을 띤 회색이고 때로는 연한 분홍빛을 띤 것도 있다.

옆구리에는 길다란 부정형 암갈색 반점이 있고, 몸길이는 30㎝에 달한다. 우리나라 남해안과 서남해안에 분포하고 일본·동지나해·아프리카에도 분포한다.

산란기는 5월 하순에서 8월경까지이다. 몸길이는 5㎝에 달할 때까지는 해조류 사이를 유영하면서 주로 작은 갑각류와 해조류를 먹으며, 5㎝ 이상 되면 수심 8∼30m의 깊은 곳으로 이동하여 갑각류·유충류·패류 기타 동물과 해조류를 먹이로 삼는다. 쥐치과에는 쥐치 이외에 새앙쥐치·말쥐치·별쥐치·흑백쥐치·그물코쥐치·객주리·날개쥐치·물각쥐치 등이 있다.

우리나라에서 현재 잡히고 있는 쥐치류의 대부분은 말쥐치이다. 이는 몸이 긴 타원형에 가깝고 측편하다. 몸빛은 연한 회청색이고, 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는 청록색, 가슴지느러미와 배지느러미는 암청색이다. 옆구리에는 다섯줄의 불분명한 불연속 세로띠가 있다. 몸길이는 30㎝가 넘는다.

쥐치류는 근년에 이르러 대량으로 어획되기 시작하였으나 쥐치어업의 역사는 상당히 깊은 것으로 추측된다. ≪우해이어보 牛海異魚譜≫에는 쥐치를 서뢰(鼠○)라는 이름으로 싣고, 서뢰는 서어(鼠魚)라고 하였다. 그 모양은 몸 전체가 쥐를 닮았는데, 귀와 사족이 없고 빛깔이 담회색이라고 하였다.

그리고 큰 것은 1척(尺)에 달하는데 항상 물 속에 엎드려 낚시 미끼를 잘 먹으나 입이 작아 삼키지는 못하고 옆에서 쥐처럼 씹어먹기 때문에 낚기가 매우 어렵다고 하였다.

그러므로 미늘이 여러 개 달린 특수한 낚시로 낚는다고 그 방법까지 설명하였다. 먹는 방법에 대해서는 가죽·장·머리 및 꼬리를 제거하고 구워서 먹는다고 하였다.

≪난호어목지 蘭湖漁牧志≫에도 서어를 싣고 한글로 ‘쥐치’라고 하였다. 몸은 평평하고, 비늘이 없으며, 등은 융기하고 미황색이며, 배는 평평하고 담백색이며, 입은 작고, 고리눈이며, 꼬리는 조금 갈라져 있고, 등에는 두 개의 짧은 지느러미가 있고, 피부에는 모래가 있어 대나무를 갈 수 있고, 큰 것은 1척 남짓하다고 그 모양을 묘사하였다.

이어서 서남해안에서 나는데 어가에서는 이를 잡아 살은 비려서 먹지 못하고, 다만 그 가죽만 벗겨서 죽전(竹箭: 대로 만든 화살)을 갈고 긁는다고 하였다. 당시만 하더라도 식용으로는 부적당한 것으로 보았던 것 같다.

어획고 통계를 보면 1975년에 처음으로 8만 1,394M/T이 올라 있고, 그 이후에는 급속도의 증가추세를 보여 1986년에는 32만 7,516M/T을 잡아 기록을 세웠다. 1992년에는 3만 4,872M/T, 1997년에는 1만 6,318M/T의 어획고를 올렸다.

어획고 통계에는 ‘쥐치’라고만 되어 있으나 그 대부분이 말쥐치이다. 주로 대형선망·대형트롤·근해안강망·대형기선저인망·정치망 등으로 잡는다. 주로 어포로 가공하여 소비하고 있다.

참고문헌

『우해이어보(牛海異魚譜)』
『난호어목지(蘭湖漁牧志)』
『농림수산통계연보』(농림수산부, 1987)
『한국어도보』(정문기, 일지사, 1977)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박구병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